배달 앱 등 플랫폼 노동 확산에 따라 성범죄 우려 커져
송옥주 의원, "개별법 산재된 성범죄자 취업제한 제도 통합·관리해야"

▲ 송옥주 더불어민주당 의원. 사진=송옥주 의원실
[일간투데이 이욱신 기자] 성범죄자가 취업할 수 없는 기관의 유형이 37개나 되지만 고객과 직접 대면하거나 개인정보까지 수집할 수 있는 배달대행업종은 빠져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플랫폼 노동의 확산과 함께 우려되는 성범죄 예방을 위해 개별법에 산재돼 있는 성범죄자 취업제한 제도를 통합적으로 관리해야 한다는 제안이 나왔다.

17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송옥주 의원(더불어민주당·비례대표)은 여성가족부로부터 제출받은 '성범죄자 취업제한 대상기관 유형별 점검결과' 자료를 토대로 이같은 문제점을 지적했다.

여가부는 '아동·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에 따라 성범죄자 취업제한 제도를 운영하고 있으며 매년 1회 이상 성범죄자의 취업여부 점검을 실시하고 있다.

성범죄자 취업제한 업종의 구체적인 유형을 살펴보면, 아동·청소년·성인 대상 성범죄는 아파트 관리사무소부터 박물관, 영화관, 수목원 등 37개 기관에서 일할 수 없다. 그러나 고객과 직접 대면하는 배달업, 대리기사업종 등은 빠져 있어 성범죄자 취업제한 제도 사각지대가 발생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배달대행·대리기사 등 모바일 앱을 통해 노무를 제공하는 플랫폼 노동의 확산과 함께 이들 플랫폼을 통한 성범죄 우려 문제가 계속해서 지적되고 있다. 하지만 정부의 대책 추진은 전무한 상황이며 최소한의 배달대행업의 명확한 종사자 수 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송옥주 의원은 "플랫폼 시장 성장과 함께 그간 법·제도 구축 논의가 활발했으나 종사자 중심으로만 이뤄진 측면이 있다"며 "현재 개별법에 따라 산재돼 있는 성범죄자 취업제한 제도를 통합·관리하기 위한 컨트롤 타워를 구축해 지금이라도 플랫폼 앱이 범죄에 악용되지 않도록 범정부 차원의 대책이 추진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여가부가 실시한 '성범죄자 취업여부 점검 및 조치 결과'에 따르면, 2017년부터 지난해까지 187명의 성범죄 전과자가 취업제한 기관에서 일하다 적발돼 종사자 해임 등의 조치가 이뤄진 것으로 확인됐다.
저작권자 © 일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