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육아휴직 수도 10만명 육박
'일·가정' 둘 다 중요…44.2%로 1위
경력단절 사유…육아(38.2%)가 1위

사진=연합뉴스

[일간투데이 권희진 기자] 지난해 남성 육아휴직자가 47% 늘어난 가운데 전체 육아휴직 사용자 수가 10만명에 육박했다.

통계청이 발표한 '2019 일·가정 양립지표'에 따르면 지난해 육아휴직 사용자 수는 9만9199명으로, 전년보다 10.1% 증가했다.

여성은 4.4% 증가한 8만1537명, 남성은 46.7% 증가한 1만7662명으로 집계됐다.

여기서 주목할 점은 남성 육아휴직 사용자가 최근 들어 40∼50%씩 급증한다는 점이다.

물론, 여전히 육아휴직의 80% 이상은 여성이 차지하지만 남성육아도 빠르게 자리잡아 가고 있는 모양새다.

육아휴직자 비중은 0세에 집중돼 있다.

만 0∼8세 자녀를 둔 근로자의 육아휴직 사용률은 4.7%였으며 전체 육아휴직자의 64.5%가 만 0세 자녀를 돌보기 위해 육아휴직을 사용했다.

여성의 경우는 73.0%, 남성은 24.2%가 만 0세 자녀에 대해 육아휴직을 사용했다.

또 만 6세에 육아휴직을 쓰는 경우도 7.4%에 달해, 자녀가 초등학교 입학을 앞둔 부모들이 육아휴직을 활용해 자녀의 입학 준비에 집중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하지만 육아휴직자의 65.0%가 300명 이상 기업에서 근무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육아휴직이 대기업과 공공기관 종사자들에게 집중된 반면, 중소기업 종사자의 경우 육아휴직 사용이 자유롭지 않은 것으로 해석된다.

육아휴직자가 복직 후에도 동일한 직장을 1년 이상 계속 다니는 비중은 2.3%포인트 증가한 79.1%(2017년 기준)였다.

육아휴직을 마치고 7만8460명이 복직했으며 이 가운데 6만2044명이 1년 뒤에도 같은 직장을 다닌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제도를 사용한 사람은 3820명이었다. 이는 전년보다 35.4% 증가한 수치다.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제는 만 8세 이하 자녀를 둔 근로자가 1년 이내로 주 15∼30시간 근무하는 제도다.

조사결과 '워라벨' 문화도 확산되고 있었다.

올해 통계청이 사회조사를 통해 일과 가정생활 중에 어떤 것이 우선하냐고 물은 결과 '둘 다 비슷'이라는 응답이 44.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일을 우선시 한다'는 응답은 42.1%로 밀리면서 1위 자리를 뺐겼다. '가정을 우선시한다'는 응답은 13.7%였다.

남녀 고용률 차이는 점차 감소하는 추세지만, 결혼할 경우 격차가 27.6%포인트까지 벌어졌다. 배우자가 있는 경우에는 남자가 81.1%, 여자가 53.5%로 격차가 크게 벌어졌다.

반면 미혼인 경우에는 남녀 고용률 격차가 1.6%포인트에 불과했다.

지난해 고용률은 남성이 70.8%, 여성이 50.9%였다.

올해 4월 기준으로 경력단절 여성은 169만9000명으로 집계됐다.

경력단절 사유로는 육아(38.2%)가 우선 순위로 꼽히면서 여성의 '경력 단절' 해소를 위한 정책적 대안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저작권자 © 일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