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중소기업 임금 격차 커
일부 취준생, 중소기업보다 공무원 시험 '올인'

사진=연합뉴스

[일간투데이 권희진 기자] 우리나라 전체 실업자 중 20대 후반이 차지하는 비중이 지난 2012년 이후 7년째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서 1위 '불명예'를 차지했다.

13일 OECD 통계에 따르면 2018년 한국 전체 실업자 가운데 25∼29세 실업자가 차지하는 비중은 21.6%로, OECD 36개 회원국 중 1위였다.

2위는 덴마크(19.4%), 3위는 멕시코(18.2%)였다. 미국은 13.0%, 일본 12.6%, 독일 13.3%로 20대 후반 실업자의 비중이 낮았다.

2011년까지만 해도 그리스와 슬로베니아가 각각 20.8%로 1위였으며 한국은 20.1%로 이들 국가보다 낮았다.

그러나 2012년 들어서며 그리스의 비율이 18.7%, 슬로베니아 19.9%로 하락한 반면, 한국은 20.2%로 제자리에 머물렀다.

다만, 우리는 대학진학률이 높고 군복무 등에 따른 특성상, 일반적으로 20대 후반에서야 직장을 잡기 때문에 다른 국가들과 20대 실업률을 단순 비교하기는 무리가 있다는 지적이다.

이러한 사회 특성을 감안하더라도 20대 후반의 높은 실업률은 수 년간 정체돼 있어 이에 대한 적절한 대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사진=연합뉴스

특히 우리나라의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의 높은 격차가 여전히 개선되지 않은 모순을 해결하지 못할 경우 청년 실업은 앞으로 더욱 악화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통계청이 지난해 말 공개한 '2017년 임금근로 일자리별 소득(보수) 결과'에 따르면, 2017년 중소기업 근로자의 월평균 소득은 223만원으로 대기업(488만원)의 45.7%에 불과했다.

국내 대졸 초봉도 구직난 대신 구인난을 겪는 일본보다 높은 편이다. 한국경영자총협회에 따르면 2018년 한국 대기업 대졸 초임은 연 3만6228달러로 일본(2만7647달러)보다 약 1만달러 많다.

조영무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대·중소기업 간 임금격차가 크고 시간이 흘러도 격차는 좁혀지지 않기 때문에 취업준비생들은 실업 기간이 길더라도 대기업에 들어가거나 공무원 시험을 보려고 한다"고 말했다.

우리나라 인구가 하락세로 돌아서면서 청년 인구가 줄어들더라도 실업문제가 해소되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왔다.

한국은행 경제연구원이 최근 발표한 '한국과 일본의 청년실업 비교분석 및 시사점' 보고서를 보면 "20대 청년 인구 비중이 높을수록 청년실업률은 낮게 나타났다"며 "청년 인구가 감소하는 경제에서는 시장도 줄어들어 청년 실업을 심화시킬 수 있다"고 지적했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일본은 초임이 높지 않아 기업들이 신규 인력을 뽑을 때 부담이 적지만 한국은 그 반대"라며 "청년실업 해소를 위해서는 외국으로 나간 기업들을 유턴하게 만들어 일자리를 늘릴 수밖에 없다"고 분석했다.


저작권자 © 일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