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취약계층 돌봄 공백 줄여

[일간투데이 권희진 기자] 전국 학교가 개학이 연기됨에 따라 학교에서 긴급 돌봄 제도를 운영하고 있지만 실제 이용률은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4일 교육부에 따르면 이달 2일 긴급돌봄에 참여한 초등학생은 2만3703명으로 집계됐다. 결과적으로 전체 초등학생 중에서는 0.87%만 긴급돌봄에 참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달 24∼26일 긴급돌봄 수요조사 결과에 따르면 초등학생 272만1484명 중 4만8656명(1.8%)의 학부모가 긴급돌봄을 신청했다.

하지만 당시 긴급돌봄 신청 초등학생 가운데 48.7%만 실제 돌봄교실을 찾았다. 이는 신청자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수치다.

이처럼 돌봄교실 이용이 저조한 배경으로, 대인 접촉 등을 통한 전염 우려 때문에 '돌봄'서비스를 포기하는 부모들이 증가한 것으로 분석된다.

아울러 정부가 직장인의 자택 근무를 권장하고 돌봄 휴가 등을 사용함으로써 '사회적 거리두기'를 적극 유도한 것이 실효를 거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돌봄교실이 생색내기식 제도에 불과했다는 비판이 제기됐다.

돌봄 교실 이용률이 저조한 배경으로 운영 시간이 맞벌이 부모들의 편의성에 부합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돌봄 교실 이용이 오후 2시경에 조기 마감되면서 실제 맞벌이 부모들의 일정과 맞지 않고, 학교마다 운영 시간이 개별적으로 운영됐다.

이러한 사실이 알려지자 교육부는 시·도 교육청을 통해 "모든 유치원·초등학교가 오후 5시까지 긴급돌봄을 제공하도록 하라"고 지침을 전달했지만 현장에 적극 반영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대구가 긴급돌봄 참여율이 가장 낮았다.

대구 지역 초등학생의 0.5%인 568명만 신청했는데 이 중에서도 약 26%인 146명만 실제 돌봄교실을 이용했다.

반면 서울의 경우 긴급돌봄을 신청했던 초등학생 1만2759명의 43.9%인 5601명이 돌봄교실을 이용했다.

유치원 돌봄 교실 이용률도 저조했다.

전체 유치원생 61만6293명 가운데 7만1353명(11.6%)이 긴급돌봄을 신청했고, 이 중 43.2%인 3만840명만 긴급돌봄에 참여했다.

1만5138명이 유치원 긴급돌봄을 신청한 서울은 5836명이 참여해 참여율이 38.6%로 집계됐다.

한편 각 지자체는 취약계층 돌봄 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한 대책을 마련했다.

서울 성동구는 지난달 관내 확진자 발생으로 사회복지시설 412곳을 휴관했지만 대체 돌봄 수단이 없는 노인, 노숙인, 한부모 가정 등을 위한 일부 시설은 계속 운영하고 있다.

성동구는 아울러 무료 급식소 중단으로 어려움을 겪는 노인과 아동에게 대체식을 집으로 배달하거나 지정 장소에서 직접 받아 갈 수 있도록 했다.

또한 강동구 대인 접촉이 접은 '어르신일자리' 사업을 기존처럼 진행하고 있으며 강동구 내 성내종합사회복지관은 장애인과 노인을 위한 이동 목욕 서비스를 이어가고 있다.

도봉구는 경로당 135곳과 노인복지시설 5곳에 마스크(KF94) 1만3700장을 지원한 데 이어 손 소독제 270개와 마스크 2만5000장을 추가로 제공한다.

종로구는 쪽방촌 주민과 노숙인 500여명에게 휴대용 손 세정제와 마스크를 지원하기로 했다.


저작권자 © 일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