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제 쌀값 급등으로 '식량대란' 우려

- ‘식량대란’발생 가능성 낮아

밀도정기계.사진=연합뉴스

[일간투데이 권희진 기자] 코로나19 이후 '질병'전쟁이 '식량'전쟁으로 번질 가능성이 제기됐다.

농업 수출국가들은 코로나19사태로 인해 농촌 인력 수급에 차질을 빚고, 쌀값 급등 현상이 발생되면서 곡물 수출국들이 잇따라 자국의 식량안보에 주력하면서 향후 식량 대란 가능성이 우려됐다.

미국과 유럽 등 코로나19 사망자가 급증한 국가들의 봄철 농번기 인력이 실종됐다.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등으로 유입된 동유럽과 북아프리카 출신의 해외 노동자가 해당 국가의 진입이 봉쇄되면서 농작물 수확 시기를 놓친 것으로 알려졌다.

이후 주요 곡물 수출국들은 서둘러 자국 수출 판로에 빗장을 걸어 잠궜다.

러시아는 쌀·밀·보리 등 모든 곡물에 대해 수출 제한 조치를 내렸으며, 베트남이 기존 쌀 수출량을 대폭 축소하는 움직임을 보이자 국제 쌀 가격은 3개월 연속 상승하는 움직임을 보였다.

베트남노동자가 쌀수출 컨테이너에서 쌀가마니를 옮기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앞서 베트남의 쌀 수출량은 지난해 같은 기간의 60% 수준으로 한정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지난 6일 베트남 산업통상부가 전했다.

베트남은 세계 3위의 쌀 수출국이며, 한국 생산량의 1.7배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오히려 우리나라 쌀 수출이 증대되는 등 예상 밖의 반사 효과를 거뒀다.

기존의 한국 쌀은 중국·동남아보다 가격경쟁력이 떨어지면서 수출에 어려움이 많았으나, 코로나19사태 이후 해외 수출 요청이 쇄도한 것으로 알려졌다.


전북 익산시는 홍콩에 매달 20톤의 쌀 수출 계약 체결을 완료했고, 전남 강진에서는 올해 말레이시아에 쌀 90톤을 수출하기로 했다.

일각에서는 이러한 반짝 특수 효과는 결국 '식량대란'이라는 부메랑으로 돌아올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됐다.

이는 식량 주요 수출국이 곡물 수출을 제한하는 동시에,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곡물 및 가공 식품 인상이 연쇄적으로 발생할지도 모른다는 불안감이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하지만 곡물 가격 급등 과 가공식품 폭등 등의 '식량대란'발생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파악됐다.

이베스트투자 증권의 심지현 연구원은 "우리나라의 경우 2018~19년까지 정부가 쌀을 수매 하면서 인위적으로 쌀값을 올렸기 때문에 더 이상 쌀값이 오를 가능성은 적다"라며 "옥수수나 대두 등 곡물가격이 2020년 들어 급등한 반면 우리나라의 쌀값의 경우 강력한 정부 통제로 인한 가격 안정세를 유지했으며, 공급 과잉이 수년간 지속됐기 때문에 오히려 쌀값은 가격 하락할 가능성이 더 크다”라고 전망했다.

사진=연합뉴스

국제 곡물 가격이 국내 주요 음식료 기업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CJ제일제당의 경우, 국제 옥수수 가격의 하락세로 덕분에 무서운 상승세를 보였던 쌀 가격을 방어함으로써 쌀값 급등 리스크를 옥수수 가격으로 상쇄시킨 것으로 분석된다.

라면 등 가공식품 가격 상승 가능성도 낮았다.

심 연구원은 "우리나라의 가공식품 기업들은 6개월~1년치 물량의 소재식품을 선구매하는 방식을 취하기 때문에 당장 곡물가격 급등하도라도 이를 소비자가격에 반영할 가능성은 희박하다"라고 말했다.

한편 농심의 경우 분산 구매 방식등을 통해 곡물파동으로 인한 소비자 가격의 완충효과를 최소화하는 등 기업 자체적으로 소비자 가격의 안정 장치를 구축한 것으로 알려져, 당분간 라면 가격이 오르는 등의 여파는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저작권자 © 일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