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호한 이유를 들어 노동계가 광주 형 일자리를 이끌 합작 법인 광주 글로벌모터스(GGM) 1대 주주인 광주시, 2대 주주인 현대자동차 등과 소통 부족을 들어 노사민정 협정 파기를 선언했다는 소식은 지역 경제와 산업계에 작지 않은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광주 형 일자리는 광주시와 정부가 민간기업인 현대자동차를 구애하다시피 해서 광주에 연간 경 스포츠유틸리티 차량 10만대 생산을 목표로 추진했던 사업으로 이 지역 여건을 고려할 때 노사 모두에게 상생할 수 있다는 기대를 물러 모아온 터라 실망도 클 수밖에 없다.

급한 광주시와 정부는 사 측인 현대자동차와 긴밀하게 움직이는 동안 노동계가 그 과정에서 소외되고 있다는 불만이 쌓여 결국 노사민정 협정 파기라는 파국 직전까지 온 셈이다.

노사민정이 수습하지 않는다면 상황은 걷잡을 수 없는 파국으로 치달을 수밖에 없다. 보도에 따르면 노동계가 협정 파기를 선언한 날은 지난 2일이라고 한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 19)으로 영국과 미국 등 주요 자동차 공장 가동이 중단되고 이들 자동차 일부 공장 생산설비에서 방호복을 만드는 상황에서 광주 형 일자리 주체인 노동계의 협정 파기 선언은 다 같이 죽자는 선언이나 다름없다.

노동계는 일자리 현장 기공식부터 참여하지 않은 체 뭔가 이탈 방안이 없나 하는 어정쩡한 모습으로 임했다는 소식도 들려온다. 광주 형 일자리는 울산 현대자동차 공장 직원들보다 상대적으로 많은 부분을 양보한 독특한 일자리 창출방안으로 평가받아와 이후 대구, 전주 등도 이와 비슷한 후속 일자리 사업도 등장할 판이었다.

따라서 광주 형 일자리 사업이 성공한다면 지역 경제에 활기를 불어넣을 수도 있다는 기대감도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노동계의 이탈은 기대만큼 실망도 클 수밖에 없다.

지역 대부분 공단이나 산단의 경우 지자체가 산단을 조성하고 민간에게 분양 형태로 개발되기 때문에 성공 여부는 민간 몫으로 남게 되지만 광주 형 일자리는 제1대 주주가 광주시다는 점에서 이번 노동계 협정 파기는 대주주의 책임도 자유로울 수 없다. 광주시가 정부 예산으로 확보한 자금으로 이를 광주 형 일자리를 위해 2대 주주인 현대자동차를 유치하는 과정에서 노동계와 함께 상생의 해법을 끊임없이 모색했다면 노동계의 이탈은 없었을 것이다.

노사상생형 지역 일자리 모델이라고 추켜세웠던 광주 형 일자리는 공단 착공 이후부터 물과 기름 사이처럼 상생과는 거리가 멀어 보인다.

합작 법인 광주 글로벌모터스(GGM) 1대 주주인 광주시, 2대 주주인 현대자동차는 광주 형 일자리를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는데 노동계가 모호한 이유를 들어 어깃장을 놓은 데 대해 아쉬움이 많겠지만 명심할 사항이 있다.

합작 법인인 GGM 임원진 구성부터가 노동계의 반발을 사고도 남을 인사로 구성됐다는 점이다.

대표이사 사장인 박광태 씨의 경우 정치권과 광주시장 등을 역임했지만 전문 경영인으로 보기는 어렵다. 노동계는 울산 현대자동차 직원과 비교해 임금 등 복지 분야까지 양보한 마당에 임원들은 제 몫 챙기기라는 분란의 소지를 노동계에 빌미를 줬기 때문이다.


지난해 1월 30일 광주시 노사민정협의회가 의결한 '지역경제 활성화 및 일자리 지속 창출을 위한 노사 상생 발전 협정서'는 노동계의 파기 선언으로 복귀하지 않는 한 차질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노동계의 대승적 참여가 없다면 제2대 주주인 현대자동차는 굳이 광주에 공장을 증설할 이유가 없다. 코로나 19로 글로벌 공급망이 무너진 가운데 소비절벽까지 겹쳐 해외 공장 가동을 중단하는 판국에 노동계가 일하기 싫다는 데 억지로 참여할 명분이 사라졌기 때문이다. 문제는 이를 위해 조성한 광주시 예산은 허공에 사라질 수 있다.

지역의 일자리 창출은 지역 경제를 자급자족 형태로 갖출 수 있는 기반이라는 점에서 연간 10만대 규모의 자동차 생산라인을 구축하려는 광주 형 일자리는 그래서 주시해왔던 모델이었다.

노동계는 사 측인 광주시와 현대자동차만의 탓으로 돌리지 말고 그들이 조금 양보해서 울산과 해외 자동차 공장보다 경쟁력 있는 GGM회사를 만들어 지역 출신 후배들에게 든든한 일자리를 창출했다는 상생형 사업에 책임과 의무를 다해야 한다.

지난 1990년대 울산 현대중공업이 극심한 파업으로 미국 선주들이 발주 물량을 취소하려 하자 현대중공업 노조가 직접 나서 선주를 설득해서 현대중공업을 정상화한 많은 사례가 있다.

광주 형 일자리는 광주뿐만 아니라 여타 지자체에도 지역형 일자리를 창출하는데 시금석인 만큼 노사민정은 그 희망의 줄을 놓지 말기를 바란다.
저작권자 © 일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