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구원 자율주행차 주차수요 정책리포트
대중교통이용 58% 자율주행차 전환 고려
차량 통행거리 1대당 25㎞ 증가
김원호 선임연구위원 "조닝(Zoning) 개념 통행·주차 수요관리 필요"

▲ 자율주행차 전용 주차장 개념도. 자료=서울연구원

[일간투데이 유경석 기자] 자율주행차 운행 시 주차는 더 어려워질 전망이다. 눈치껏 '불법주차'가 불가능해지면서 도심 밖 주차장 주변에서 심한 정체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연구결과 자율주행차 운행 시 차량 1대당 통행거리는 24.7㎞가 늘어날 것으로 예측됐다.

2일 서울연구원(원장 서왕진)이 발표한 서울시 자율주행차 주차수요 관리방안 정책리포트에 따르면 자율주행차가 상용화할 경우 도심 외 주차로 인해 1470만 대·㎞의 추가 운행거리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서울시 총 차량주행거리의 약 27%에 해당하고, 차량 1대당 24.7㎞의 통행거리가 늘어나는 것이다.

자율주행차 도입 시 일상생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예측이 주류를 이루는 가운데 상반된 상황을 분석한 결과여서 주목된다.

승용차 이용자를 대상으로 자율주행차 선호도를 조사한 결과 전체 응답자의 68.3%가 향후 자율주행차로 전환하겠다고 응답했다. 승용차 이용자는 83.7%가, 대중교통 이용자는 58.2%가 자율주행차로 전환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완전 자율주행 기능이 있는 경우 이용자 67%는 도심 목적지 외(근교) 주차장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심(종로구·중구·강남·여의도) 방문시 체류시간이 2시간 이상인 경우 10~30분 거리의 주차장을, 출장 또는 외근의 경우 도심 목적지 내 주차를 각각 선호했다.

이에 따라 목적지가 아닌 지역에 주차하려는 행태로 극심한 혼잡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도심에 인접한 동대문구, 마포구, 서대문구, 성동구, 성북구, 용산구, 은평구 7개구보다 거리는 멀지만 주차 비용이 낮아 요금 효율이 높은 인접구 외 지역 주차장으로 몰리는데 따른 것이다. 불법주차가 가장 많은 종로구 평창동을 비롯 주차 공급면수가 많은 종로1·2·3·4가 동에서 '눈치껏' 주·정차하던 관행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이 결과 추가적으로 발생하는 총 운행거리(VKT)는 1470만 대·㎞로, 이는 서울시 전체 차량 기준(2014년 5372만6401대·㎞) 대비 약 27.3%로, 차량 1대당 24.7㎞의 통행거리가 증가하는 것이다.

자율주행차로 인한 주차수요 쏠림현상과 도로 정체를 줄이기 위해서는 통행·주차 수요 관리가 동시에 가능하도록 도심 주차수요를 적극적으로 관리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김원호 서울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보유와 주차 관리정책에서 수요관리정책으로 전환이 요구된다"면서 "자율주행차 특성을 고려한 적극적 통행·주차 관리가 필요하다"며 조닝(Zoning) 개념의 단계별 자율주행차 통행·주차 관리정책을 제안했다.

조닝(Zoning) 방식은 Zone1(도심 특별관리 지역. 종로구·중구·강남·여의도 등)은 높은 혼잡통행료와 주차요금을 징수하고, Zone2(시가지 지역. 도시철도 2호선 라인 등)는 적정 수준의 수요관리정책을 시행하며, Zone3(서울시 외곽지역)는 Park&Ride 구역을 설치하는 방식이다. 서울시 자율주행차 주차수요 관리방안 설문조사는 2018년 5월 첫째 주에 시행됐다.


저작권자 © 일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