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이후 전체 가동 원전 24기 중 14기 원전에서 공극 총 332개 발견
김상희 부의장, "원안위·시공사, 책임있는 대처와 안전성 종합계획 마련 필요"

▲ 원전 격납건물 내부철판(CLP) 배면 공극 발생 현황. 자료=김상희 국회 부의장실(한국수력원자력·원자력안전위원회)

[일간투데이 이욱신 기자] 국내 원전에서 해를 거듭할수록 새로운 공극이 발견되면서 원자력발전소의 구조적 안정성 논란이 떠오르는 등 원전 안전관리가 여전히 심각한 상태인 것으로 드러났다.

21일 국회 김상희 부의장(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경기 부천병)이 원자력안전위원회(이하 원안위)와 한국수력원자력(이하 한수원)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가동원전 24기 중 58%인 14기 원전에서 지금껏 332개의 공극이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

해당 자료에 따르면 이 중 전남 영광의 한빛3·4호기에서만 264개(전체의 79%)의 공극이 집중적으로 발생했으며 가장 큰 공극의 크기는 157cm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자로 격납건물은 원자로와 원자로 냉각재계통이 설치된 콘크리트로, 원자로 사고시 방사성 물질이 대기 중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건물이다. 내부철판(CLP)은 원자로 격납건물의 방사능 유출 방지 기능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김상희 부의장은 "공극은 원전의 구조적 안전성과 직결되는 문제"라며 "여러 원전에서 산발적으로, 특정 원전에서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공극 문제 해결을 위한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어 "한빛3·4호기에서 공극이 다수 발생했다는 것은 시공사의 부실시공 가능성이 크다"며 "2017년 5월 처음 공극이 발견된 후 3년이 지난 지금 시공사의 대책 마련 속도가 대단히 더디다"고 지적했다.

또한 "한빛3·4호기를 시공한 현대건설 등 관련사는 책임 있게 행동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수원이 김 부의장실에 제출한 공극보수 원전별 추정비용에 따르면 내부철판(CLP) 점검 및 보수, 콘크리트 보수 비용으로 최소 1957억원 이상이 소요될 것으로 추정된다.

김 부의장은 "신고리4호기, 한빛1호기, 신한울2호기에 대한 공극 점검이 오는 12월에야 완료된다. 공극이 추가로 발생할 수 있는 만큼 내부 점검에 빈틈이 없어야 할 것"이라며 "제대로 된 원인규명, 보수공사를 포함한 시공사의 책임있는 대처와 안전성 강화 대책으로 원전에 대한 국민의 신뢰를 되찾아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부의장은 "원안위와 한수원이 적극 협력해 대책 마련에 힘써야 할 것"이라며 "다가오는 국정감사에서 원자력발전소의 건물 구조 등 구조적 안전성 문제를 반드시 짚고 넘어가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일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