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건설산업팀 김대중 기자

“‘제2의 중동건설 붐’에 대비해 해외시장에서 고부가가치 공사를 더 많이 따내는 것보다, 인력을 먼저 확보하는 것이 시급합니다”

최근 다시 순풍이 불고 있는 중동건설 시장 수주 기대는 커지는 반면 고급인력 확보는 갈수록 더욱 힘들어 지고 있다는 해외건설협회 관계자의 토로다.

갈수록 줄어드는 국내 건설시장을 벗어나, 위기타개책으로 삼고 있는 해외시장에서 인력이 없다는 참으로 난감할 노릇이 아닐 수 없다.

실제로 업계 이곳저곳에서는 그같은 우려를 피부로 체감하는 이들의 불만이 쏟아지고 있다.

앞서 지난달 28일 열렸던 ‘건설분야 해외진출 협력강화 워크숍’에 참석한 업계 관계자들은 앞다퉈 이같은 문제를 지적했다.

이날 도하엔지니어링 김연호 본부장은 “이미 1차 중동 붐을 타고 해외로 진출했던 인력은 60세가 넘었고 의사소통 문제로 현장투입을 마다하고 있다”고 현실을 전했다. 이에 해건협·정부 등에서 관련 인력 영어실력 향상을 위한 교육정책과 젊은 인력들의 해외진출을 위한 제도적인 지원이 있어야 한다는 주장이다.

물론 해건협도 이같은 문제를 통감하고 관련 교육을 지원하고 있다.

이달에만 해외건설 입문과정을 시작으로, 해외건설 비즈니스영어 기초실무 과정, 해외건설·플랜트전직·전환취업과정 등의 세미나 등이 예정돼 있다.

국토해양부도 지난달 24일 이 대통령 주재로 열린 ‘중동지역 전문인력 진출 방안’ 전략회의에서 해외건설 근로자 세제혜택 확대, 해외건설업체 병역특례확대, 해외건설인력 4800명 양성 등 인력난 해소책을 내놓은 바 있다.

이처럼 다각도에서 플랜트 인재양성의 필요성과 교육이 열리고 있지만, 정작 해당 건설사들은 근본적인 인력난 해결책에는 못 미친다는 지적이 계속되는 이유는 무엇일까.

무엇보다 해외주재 건설근로자의 경우, 실질적인 경제적 지원이 부족한 탓이다. 물론 해외건설 근로자 세제혜택 확대는 최근 법 개정을 통해 월 150만원에서 200만원으로 상향됐음에도 불구, 여전히 미국이나 일본, 유럽과 비교할 때 턱 없이 부족하다. 

국토부 지역별 차등과 한시적 비과세 등의 대책을 추가로 마련하겠다는 방침이지만, 이마저도 재정부가 세입감소, 타 업종과 형평성 등을 이유로 난색을 표하고 있어 현실화되기까지는 진통이 예상된다.

병역도 해외근로를 주저하게 되는 주원인이다. 정부는 해외건설 근로자의 경우 병역특례 적용을 하겠다며 지난  2008년부터 검토를 해왔지만,  지난해 전국에서 건설업체에 취직해 병역특례를 받은 사례는 2건에 불과한 실정이다.

정부의 제도적 지원에만 기댈 수도 없는 노릇. 업계는 스스로 ‘인재 모시기’ 경쟁을 벌이느라 분주한 형국이다.

삼성물산은 플랜트 분야 우수인력을 확보하기위해 예비지원자 200여명을 대상으로 연극형식의 이색적인 채용설명회를 개최했고, SK건설도 미국 명문대 한인학생을 입도선매하기위해 미국 30개 명문대에서 한인학생 대상으로 온라인 화상면접을 통해 면접을 실시했다.

또 다른 일부 건설사들은 퇴직한 전직 직원들을 다시 채용하거나, 영어권 해외 인력을 채용하는 고육지책을 내놓고 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해외플랜트 전문인력의 몸값은 그야말로 천정부지라는 후문이다. 국내 인력수급에 한계가 오자, 인도와 필리핀 등 동남아 채용도 늘어나는 현상이 빚어지고 있다.

하지만 이같은 인력 수급은 결국 '언 발에 오줌누기'식밖에 되지 않는다. 근본적으로 정부차원에서 장기적인 안목으로 전문인력을 대거 양성하는 수밖에 없다.

제2의 중동건설붐이 거세게 불어온다. 때마침 불어온 바람을 싣고 순항할 것인가, 그냥 바람만 맞고 쓰러질 것인가는 결국 국내 건설사들의 강고한 수주 의지와 정부가 든든하게 버팀목 역할을 어떻게 해주냐에 달려 있을 것이다.

이제 더이상 급조된 '미봉책' 같은 해외건설인력 확보책이 아니라, 보다 실질적인 정책이 필요한 때다. 당장은 해외파견 건설 근로자에 대한 전액 비과세 정책, 병역특례, 해외현장 연수·인턴제의 대대적 지원 확대가 부처간 이해를 떠나 하루빨리 실현되길 바래본다.

저작권자 © 일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