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세 중의 실세로 통하는 박영준 전 지식경제부 차관이 파이시티 비리로 구속됐다. 일명 왕차관으로 불리워지는 그도 이제 더 이상 행세를 못하는 신세가 돼버렸다.
그는 이명박 대통령 일가와 각별한 인연 때문에 모든 권한을 행사하는 범위에 권력위에 군림해 왔다. 그러나 시간이 해결했다. 아무리 꼬리를 감추려고 해도 더 이상 버티지를 못했다.
어떤 의미에서 이명박 정권하에서 사법처리를 받는 것이 그에게는 오히려 다행스러운지 모른다. 차기 정권에서 부정이 드러나면 가중처벌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대통령의 형인 이상득의원 보좌관으로 인연을 맺은 그는 정권출범 후 청와대 기획조정 비서관과 국무총리실 국무차장 등을 거치며 승승장구 했다. 왕차관으로 불릴만틈 무소불위의 권력을 휘두르며 그가 수많은 비리의혹에 휘말린 것은 당연한 결과이다. 정두언 의원은 왕차관과 서울시에 같이 근무를 해 잘 아는 처지다.
그는 "4년전부터 일종의 112신고를 했고 여러차례 경고하고 언질을 줬는데 시스템이 전혀 작동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박 전 차관의 구속영장에 드러난 혐의는 이정배 전 파이시티 대표에게서 1억7000만원을 받고 그 대가로 인허가와 관련된 영향력을 행사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혐의는 빙산의 일각에 불과할 가능성이 많다.
이미 박 전 차관의 형 계좌에 수상한 뭉치돈이 수시로 입출금된 흔적이 발견됐다.
총액이 10억원을 넘는다고 한다. 검찰은 이 돈의 출처를 살펴보고 있다.
그가 금품을 챙긴 경위와 사후 대응을 살펴보면 더 한심스럽다. 박 전 차관은 파이시티 비리 외에도 갖가지 의혹을 받고 잇다. 우선적으로 규명해야 할 사안은 총리실 공직윤리지원관실의 민간이 불법사찰 및 은폐 조작과정에 개입했는지 여부다. 
카메론 다이아몬드 스캔들로 불리는 CNK 주가 조작 연루 의혹과 포스코 회장 선임과정 개입의혹도 검찰수사에서 밝혀야 할 부분이다.
앞서 무혐의 처분도 SLS그룹 구명로비 의혹도 필요하면 재수사해야한다.
이제 검찰의 의지가 어떻게 되느냐에 달렸다. 검찰은 돌아올 수 없는 강을 건넌 것이다. 이제 더이상 박차관의 비리부정을 덮을 생각은 할 수 없다. 왜냐하면 박 전 차관의 모든 죄를 덮어두고 일부만 형식적으로 조사 처벌한다면 후일에 검찰도 문제가 된다. 어차피 비리를 캐려면 몽땅 털어 버리는게 상책이다.
열흘 붉은 꽃이 없고 10년가는 세도 없다는 말이 생각난다.
저작권자 © 일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