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가 7월1일 17번째 광역자치단체로 공식 출범했다. 충남 연기군 주민이 1일부터 세종시 주민이 된다. 이날부터 충남 기초단체였던 연기군은 역사 뒤안길로 사라졌다.

대신 충남 연기군 전역과 공주시 일부 충북 청원군 일부를 합쳐 총 465.23㎢(1억4000만 평) 넓이 세종시가 새로 등장했다. 노무현 전 대통령이 당시 후보로 신행정수도 공약으로 첫발을 뗀지 10년 만이다.

중앙부처는 올 9월 국무총리실을 시작으로 9부2청과 소속기관 등 36개 기관 1만여명의 공무원이 2014년 말까지 3단계로 나눠 이전한다. 첫마을 아파트 2단계 4278가구 입주도 지난달 29일부터 시작돼 연말까지 세종시 인구는 12만3000여명에 이를 전망이다.

연기군청에서 세종시청으로 바뀐 세종시청사에는 '세종특별자치시'라고 새겨진 산뜻한 대형 현판이 걸렸다.
세종시청 공무원 수는 소방직 130여명을 포함해 모두 958명. 기존 연기군보다 350여명 늘었다. 시청사는 기존 연기군청을 임시청사로 사용하다 2014년 신청사가 완공되면 이전할 예정이다.

세종시 출범으로 당장 전화번호 지역번호가 '041'에서 '044'로 바뀌고 주민등록 및 자동차 등록 등 각종 인허가 및 등록·승인기관이 충남도에서 세종시로 바뀌게 됐다.

당초의 신행정 수도에서 규모는 축소했지만 세종시 출범은 수도권 과밀 해소와 지방분권, 국토균형 발전이라는 측면에서 역사적인 의미가 크다. 인구의 절반이 몰려있는 서울 등 수도권에는 중앙행정기관의 약 80%, 공기업 본사 및 정부출연기관의 83%, 100대 기업의 91%가 들어서 있다.

그럼에도 수도권은 주택난, 취업난, 교통난 등 3대 난에 시달리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출범한 세종시는 수도권에 집중돼 있는 권력의 분산과 의료, 교육 문화 등 국가 서비스 산업의 전반적인 대이동, 국가균형발전을 선도하는 역할 수행이 기대된다. 그러기 위해서는 해결해야할 과제가 많다. 우선 당초 계획대로 잘 추진될 것인지에 대한 우려가 크다.

정부 부처와 유관기관들이 대거 세종시로 이전 하지만 청와대와 국회 등이 서울에 남는 탓에 우려되는 행정 비효율 문제도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

새행정수도에는 큰 병원, 약국, 대형마트 등이 없어 시민들의 불편이 이만저만 아니다. 뿐만 아니라 서울과 세종시로 오고가는 불편과 이에 따른 교통비 특히 이산가족 문제 등 부수적인 불편을 어떻게 감당할지 이에 대한 대책이 시급히 요청된다. 반쪽짜리 행정수도를 발전시켜 명실상부한 제2의 수도로 성장시킬 것을 지적한다.

저작권자 © 일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