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R&D 조세지원 개선 위한 정부 공동 건의

전경련 등 5개 경제단체는 지난 8월 발표된 기획재정부의 세법개정안 중 ‘R&D 조세지원’ 제도에 대해 개선안 6건을 건의했다고 16일 밝혔다.

경제계는 R&D 활동을 활발히 수행한 기업에 대한 조세지원은 민간 R&D 투자 증가를 견인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이며, 주요 국가들이 R&D의 외연을 확대하기 위해 지원제도를 강화하는 추세임을 밝혔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도 ‘서비스 R&D 조세지원 확대’, ‘R&D 세액공제시 증가분 계산방식의 현행유지’, ‘중견기업 R&D 세액공제 적용 대상 확대’를 통해 글로벌 상위 규모 수준의 R&D 투자를 유인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기술이전 및 취득에 대한 조세지원 확대’, ‘특허출원 관련 비용 세액공제’, ‘직무발명금 소득세 비과세 적용대상 확대’ 등 기술개발 및 거래에 대한 적극적인 보상 시스템을 구축할 것을 제안했다.

경제계에 따르면, 현재 서비스업은 주요 OECD 국가에서 국내총생산(GDP)의 70%이상을 점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서비스업의 경제적 중요성이 확대돼 GDP에서의 비중이 지난해 기준 58.1%(한국은행 기준)를 나타냈다.

그러나 이는 현 정부 임기 첫 해인 2008년 60.8%를 정점으로 감소한 수치이며, 선진국에 비해 한국의 서비스업은 제자리걸음을 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중국 등 신흥공업국의 추격과 국가·기업 간 기술경쟁이 심화돼 제조업 중심의 성장전략에는 한계가 있는 반면, 서비스업에 투입되는 R&D 비율은 주요 선진국에 비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나 서비스업의 육성이 시급한 상황임을 촉구했다.

경제계는 현행과 같이 서비스 R&D를 지원하는 제도가 기업의 수요에 비해 크게 부족하고 제한적이며, 특허출원이나 기술이전·취득과 같은 기술거래 활동에 대한 조세지원이 부재한 상황에 대한 우려를 표명했다.

전경련 김태윤 미래산업팀장은 “수익이 많다는 이유로 특정 기업만 R&D 조세지원을 하지 않겠다는 것은 우리 기업들의 R&D 투자 위축과 함께 시장 경쟁력을 훼손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또한 “최근의 저성장 국면은 제조업 중심의 성장 전략으로는 한계가 있다. 서비스업을 성장 동력으로 육성해 일자리를 창출하고, 제조업의 디자인력과 질적 수준 제고 등 제조업의 경쟁력을 업그레이드 시키는데도 기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밝혔다.

▲ 기업 R&D 조세지원 개선을 위한 5개 경제단체 공동 정책건의안 (제공=전경련)

저작권자 © 일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