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차기 총리로 극우 성향의 아베가 등장할 것으로 보여 동북아시아의 격량이 예고되고 있다.

일본의 차기 총리로 유력한 자민당 총재 선거에서 아베 신조(安倍晋三·58) 전 총리가 5년 만에 다시 선출됐다. 아베 신임 총재는 26일 자민당 총재 선거에서 이시바 시게루 전 정조회장과 결선투표까지 가는 접전 끝에 역전승을 거뒀다. 총리를 지낸 정치인이 자민당 총재로 재선출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아베의 전면 등장은 동북아 정세의 대격변을 예고하고 있다. 이르면 올 11월, 늦어도 내년 여름엔 치러질 총선에서 자민당의 집권당 회귀가 거의 확실해 보이기 때문이다.

아베의 날선 정책들은 동북아시아의 분쟁과 격돌을 초래할 공산이 크다는 분석이다. 아베의 최종 지향점은 헌법 개정이다. 전쟁 포기와 교전권 금지를 규정한 헌법 제9조를 고쳐 군사 강국의 길을 트겠다는 것이다. 이미 “헌법개정 요건을 국회의원 3분의 2이상 찬성에서 2분의 1로 바꾸겠다”고 공언하기도 했다. 집단적 자위권 허용도 아베의 최우선 정책 중 하나다.

그는 총리 재임 중 “야스쿠니 신사 참배를 하지 못한 게 천추의 한”이라고 말했다. 아베는 2006년 9월 총리 취임 후 한국·중국의 관계를 고려, 재임 1년 동안 야스쿠니 참배를 하지 않았다. 이는 당시 ‘총리로서의 현실 외교’로 받아들여졌다. 그의 발언은 총리가 되면 야스쿠니에 꼭 가겠다는 강한 의지로 해석된다.

위안부 문제도 아베의 등장으로 더욱 꼬일 전망이다. 그는 위안부 동원에 일본군이 관여한 사실을 인정한 ‘고노 담화’를 폐기할 뜻을 분명히 했다. “고노 담화의 핵심은 강제연행인데 그걸 증명할 자료는 없으므로 새로운 담화를 각의에서 통과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그는 과거의 식민지 지배의 침략을 사죄한 ‘무라야마 담화’도 부인했다. 아베가 일본이 역대 정권이 존중해 온 ‘고노 담화’ ‘무라야마 담화’의 백지화에 나서게 되면 한·일 외교는 사실상 올스톱 상태가 될 수 있다.

또 아베는 “‘일·미 동맹’을 바로 세우고 호주·인도와의 연대를 강화하겠다”고 공약했다. 한국과 중국은 거론조차 하지 않았다. 아베의 한 측근은 “아시아의 리더는 중국이 아니라 일본이어야 한다는 게 ‘아베 외교’의 출발점”이라고 전했다.

하지만 사사건건 한국과 중국과의 마찰을 빚게 되면 미국으로서도 일본이 부담되지 않을 수 없다. 그런 관점에서 “실제 총리가 되면 신중한 정책을 펼 것”이란 기대 섞인 분석도 없지 않다. 실제 그는 고이즈미 정권 시절 2인자로 활약하면서 “총리 대신 내가 악역을 맡고 있는 것”이라 털어놓은 적도 있다.

문제는 일본 사회가 최근 수년 사이 급격히 ‘우경화’되고 있다는데 주목할 필요가 있다.
 

저작권자 © 일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