힘센 자가 약한 자를 돕는 것은 자연스런 이치다. 어려움을 알면서 못 본체하는 것은 강자의 도리가 아니다. 요즘 서비스가 생명인 금융권이 사회공헌 활동에 인색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벌어들인 수익에 비해 쓰임새가 너무 짜다는 것이다.

금융권의 수익가운데 상당부분은 수수료가 차지한다. 수수료수입은 매출을 늘리려 크게 신경쓰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확대된다. 이런 구조적 특성을 갖고 있는 은행-보험-증권-카드 등 금융업계가 벌어들인 수익의 상당부분을 사회공헌활동에 돌리는 것은 지극히 자연스런 현상이라 할 것이다. 그런데도 이러한 자연스런 흐름이 이뤄지지 않아 구설수에 오른 것이다. 국회에서도 이것이 문제로 지적됐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강기정(민주당) 의원이 제출한 '금융기관별 사회공헌활동 내역'을 보면 금융권의 수익대비 사회공헌활동은 너무 인색한 것으로 드러났다. 가장 짠 것으로 집계된 증권업계는 지난해 2조1842억원의 당기순이익을 냈으나 고작 335억원을 집행했다. 순익 대비 불과 1.53%에 지나지 않는다. 심지어 10곳이 넘는 업체가 이 부분에 한 푼도 쓰지 않았다.

은행권이 11조7510억원의 순이익 중 사회공헌활동비로 6630억원을 집행해 5.64%를 나타냈고, 카드업계는 1조5231억원이 3.61%인 550억원을 썼다. 생명보험과 손해보험은 각각 3조3711억원 중 1110억원을, 2조3736억원 중 412억원을 집행해 비율이 3.29%, 1.73%에 그쳤다.

전체 금융권중 은행이 5%를 넘겨 그래도 좀 낳은 편이고 나머지 업계는 1~3%선으로 도토리 키 재기 수준이다. 거래알선수수료, 대출수수료, 기기이용수수료, 기간연장수수료, 중도상환수수료 등 등 온갖 명목을 붙여 수수료로 벌어들인 수익의 극히 일부분만 내놓고도 기업의 사회적 책임 운운할 수 있겠는가?
강 의원이 지적한대로 금융업계가 이익실현에 집착하면서 사회적 책임은 외면하고 있다는 비판을 피할 수 없게 됐다.

전체 금융권의 수수료수입은 올해 상반기 중에만 10조가 넘었다는 보도가 며칠 전에 나간바 있다. 가히 수수료천국이라 할 만한 금융권이 이래서는 않된다. 엄청난 수수료 수익을 올리면서 고통분담과 상생차원에서 벌이는 사회공헌활동을 외면한다면 이는 기업의 도리가 아니다. 금융권이 알아서 스스로 실천하길 기대한다. 만약 그렇지 못할 때는 수수료수익의 합당한 선을 제시해 사회봉사사업에 전용토록 하는 방안 마련도 필요하리라 본다. 

저작권자 © 일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