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간투데이 최원일 기자] 시내버스가 한동안 시민들 마음을 불편하게 했다. 며칠 후엔 택시가 파업을 예고하고 있다. 이번엔 마을버스가 심상치 않다. 다 같은 시민의 발인데 왜 우리만 차별을 받느냐는 강한 불만이 베어있다. 대중교통정책의 근본적인 수정이 필요하다는 생각이다.

지난달 택시를 대중교통으로 인정하는 내용을 담은 '대중교통육성법 개정안'의 국회 본회의 상정을 앞두고 전국의 모든 버스가 운행을 중단하는 사태가 벌어진 바 있다. 7일부터는 택시업계가 총파업에 들어간다는 예고다.

서울시마을버스사업자조합은 지난달 21일 오후 전국 버스운행중단 예정시간을 6시간정도 앞두고 운행 중단 결의를 전격 철회했다. 시의 지원도 받지 못하는 상황에서 운행을 중단하면 회사 경영에 큰 타격을 받는다는 이유에서였다.

마을버스는 간선도로를 운행하며 시내버스와 지하철과의 연계수단 역할을 하는 시민의 발이다. 그럼에도 마을버스는 대중교통 지원책을 논하는 정치권과 대중교통 지원부서인 서울시의관심 밖에 존재하는 신세다.

서울 시내에 등록된 마을버스 업체는 125개다. 총 201개 노선에 1401대가 운행하고 있다. 업체 당 평균 1~2개 노선에 7~40대의 버스를 보유하고 있다.

대부분 마을버스가 영세하게 운영되는 데다 지원이 거의 없다 보니 근무환경과 처우 등 모든 게 시내버스와 비교가 안 될 만큼 열악한 상황이다.

서울시가 지난 한 해 시내버스에 지원한 예산은 3200억원이다. 반면 민영으로 운영되는 마을버스에 올 한해 편성된 지원 예산은 160억뿐이다. 이중 60억원은 마을버스 업체를 평가해 그 결과에 따라 차등 지급된다.

운행버스는 5배 정도 차이 난다. 그런데 지원예산차이는 20배에 이른다. 기사임금은 180만원 수준으로 시내버스 350만원의 절반 정도다. 월급은 절반밖에 안되는데 업무량은 더 쎄다고 한다.

연계 교통수단으로서 마을버스가 맡은 역할이 중요하고 환경은 몹시 열악하다. 그런데도 이번 대중교통개정안 논의에서 마을버스를 배제된 건 상식 밖이다. 영세성을 면치 못함에도 서민을 위해 어렵게 운영하고 있는 마을버스를 정부가 외면해서는 안 된다는 전문가들의 목소리를 수용할 필요가 있다.

시내버스-택시-마을버스 기사나 업체관계자들이 마음놓고 시민서비스 향상에만 전념토록 대중교통체계를 근본적으로 수정 보완하는 노력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일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