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간투데이 최원일 논설실장] 광화문 현판을 두고 논란이 심하다. 지난해 말 문화재청이 새로 달 광화문 현판을 한자로 확정했다. 이를 계기로 한글사용을 주장하는 의견이 거세게 일고 있다.

당초 문화재청은 지난달 27일 고궁박물관에서 문화재위원 4개 합동분과 회의를 열고 광화문 현판을 고종 경복궁 중건 당시 영건도감(營建都監)의 제조 임태영의 서체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러한 결정에 대해 한글사용을 주장하는 측은 강하게 반발하고 나섰다.

당초 광화문 현판은 경복궁 복원정비 사업에 따라 제작 설치했다. 사용 중인 2010년 11월 현판에 균열이 생겨 다시 제작하기로 한 것이다. 이 과정에서 현판 글씨를 두고 한자파와 한글파가 충돌하며 논란이 일었다. 문화재청은 한 차례 공청회와 두 번의 토론회를 열고 의견을 수렴한 후 문화재위원 합동분과회의에서 한자로 결정한 것이다.

이에 대해 한글서체연구회, 한말글문화협회 등 한글사용을 주장하는 인사들은 즉각 반발하고 나선 것이다. 한글파들은 한글이 탄생한 세종대로는 한글문화 특구로 잘 가꿔야 하는데도 한자를 쓰자는 결정은 국민을 무시하고 한글을 짓밟은 일이라 주장한다. 이들은 문화재위원들의 결정을 인정할 수 없다며 계속 투쟁할 것이라며 문화재청장과 문화재위원들은 당장 자퇴하라고 압박하고 있다.

곧 제작에 착수해야 상반기 중에 달수 있는 현판이 앞으로 어떻게 처리될지 관심이 높다. 일단 확정한 것을 다시 뒤집기가 쉽지 않다. 그렇다고 거센 반발을 무시하기도 힘든 처지가 됐다. 한마디로 진퇴양난이다. 국민적 중지를 모아 해결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이 문제는 광화문 현판 글씨를 한자로 할 것인가 아니면 한글로 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단순한 문제가 아니다. 또 다시 유사한 상황이 발생할 때 처리의 기본이 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일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