탕평형 지역안배 탈피, 6명 장관 내정자 모두 친정 복귀
북핵 문제로 외교안보라인 강화…노무현정부 인재 기용

▲ 박근혜 당선인이 13일 오전 교육부 장관에 서남수 전 차관, 외교부 장관에 윤병세 전 차관, 법무부 장관에 황교안 전 부산고검장(위 왼쪽부터), 국방부 장관에 김병관 전 한미연합사령부 부사령관, 안전행정부 장관에 유정복 새누리당 의원,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아래 왼쪽부터)에 유진룡 전 차관을 내정했다. (사진=뉴시스)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이 13일 발표한 새정부 첫 내각 인선안의 특징은 관료 출신 인사들이 대거 새 정부의 장관 내정자로 발탁됐다는 점이다.

이를 통해 '전문성'과 '능력'이라는 박 당선인의 인사 원칙에서 살렸다는 긍정적인 평가를 얻은 반면 지역 안배를 통한 탕평인사, 통합형 인사는 부족하다는 부정적인 평가도 얻게 됐다.

박 당선인이 이날 공개한 6개 부처 인선안의 내용을 살펴보면 6명의 후보자 모두 관료 출신이라는 점을 비롯해 ▲특정 지역안배론 탈피 ▲캠프 및 인수위 멤버 기용 ▲현역 의원 발탁 등 4대 기조를 보였다.

특히 이번 인선 발표는 국회 내 정부조직법안 통과가 여야간 이견으로 미뤄지고 있는 상황에서 기존 부처가 지속되는 곳만 선별해 지명 발표됐다. 더구나 외교부와 국방부 장관 인선을 통해 현재 북 핵실험 위협으로 외교국방 현안의 시급한 처리를 위해 더욱 안정적 실무형 인사를 고려했다는 분석이다.

이에따라 향후 정권 이양과 원활한 국정 운영을 위해서라도 남은 내각 인선에서도 앞서 제시된 4대 기조가 동일하게 적용될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다.

특히 이번에 내정된 6명의 장관 후보자들은 모두 자신이 근무했던 친정격인 관료시절 몸담았던 조직으로 금의환향했다는 점도 눈에 띈다.

황교안 법무부 장관 내정자는 부산고검장을 끝으로 공직을 마친 검사 출신이며,윤병세 외교부 장관 내정자도 외교통상부 차관보를 지냈다.

유정복 안전행정부 장관 내정자는 행정고시 23회 출신으로 내무부에서 근무하다 인천시 서구청장을 끝으로 공직을 끝낸 뒤 이후 김포군수, 김포 지역구 국회의원 등 정치의 길로 들어섰다.

김병관 국방부 장관 내정자도 육사 28기 출신으로 한미연합사령부 부사령관(대장)까지 지냈다.

서남수 교육부, 유진룡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내정자는 행시 22회 동기로 각각 교육인적자원부 차관, 문화관광부 차관을 거쳤다.

정홍원 국무총리 후보자 역시 법무연수원장을 끝으로 검사 생활을 마감한 공직자 출신이어서 지금까지 발표된 7명의 각료 후보자가 모두 관료 출신인 셈이다.

박 당선인이 앞서 예고했던 통합형, 탕평형 인사와 달리 지역색을 탈피한 것도 주목되는 부분이다.

지역별로는 서울이 3명(황교안, 윤병세, 서남수)으로 가장 많고 다음으로 인천(유정복, 유진룡)이 2명이며 경남(김병관)이 1명이다. 정 후보자의 고향도 경남이다. 수도권과 경남을 제외한 이외 지역에서는 아직 한 명의 장관 후보도 나오지 않은 셈이다.

이에 따라 앞으로 남은 인선에서 권력기관장 등에 호남 출신 인사가 포함될 가능성이 커졌다는 분석도 나오는 대목이다.

대선 캠프나 인수위 합류 인사 및 현역 지역구 의원을 배제할 것이라던 기조도 깨졌다. 이날 인선 지명자 6명 중 3명이 박근혜 대선 후보 캠프 출신이기 때문. 특히 유정복 내정자는 국회의원 3선 출신의 현역 지역구 의원이지만 요직에 발탁됐다.

출신 고교는 경기고 3명(황교안, 윤병세, 김병관), 서울고 2명(서남수, 유진룡), 제물포고 1명(유정복)이다. 출신 대학은 서울대가 3명(윤병세, 서남수, 유진룡)으로 가장 많고, 연세대(유정복), 성균관대(황교안), 육군사관학교(김병관)가 각각 1명이었다.

노무현정부를 끝으로 공직생활을 마감한 관료들을 대거 중용한 것도 기존 정부와 차별화되는 점이다.

윤병세, 김병관, 서남수, 유진룡 내정자 등 4명이 노무현 정부에서 고위직을 지내다 이명박 정부가 들어선 뒤 공직을 떠난 인물로, 현 정부와 차별화 내지 거리를 두겠다는 당선인의 의중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이 밖에 보수색이 강화됐다는 점도 박근혜 정부의 국정운용 기조를 엿볼 수 있다. 대표적인 보수주의자로 알려진 황교안 법무장관 내정자와 김병관 국방장관 내정자는 북한 3차 핵실험 사태에 따른 안보위기 상황을 고려한 인사로 풀이된다.[일간투데이]

 

저작권자 © 일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