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보람 유통산업부 기자

 

정권 교체기를 틈타 서민 물가가 하루가 멀다하고 치솟고 있다. 밀가루값에 이어 고추장·된장·간장 가격이 줄줄이 오르고, 식용유와 조미료값도 덩달아 크게 뛰었다. 식탁에 빼놓을 수 없는 국민 식품인 김치마저 인상 대열에 합류했다. 인상폭도 평균 8% 안팎으로 소비자물가 상승률의 4∼5배를 웃돈다.

식품 기업들은 원재료값이 올라 불가피하게 올릴 수밖에 없다고 말한다. 그런데 수치로만 보면 이는 궁색한 변명에 불과하다. 정부 발표에 따르면, 수입물가와 생산자물가는 지난달 원화강세 여파로 39개월 만에 가장 많이 떨어졌다. 수입물가 하락폭이 전년 대비 10.6%에 이른다.

특히 서민 물가와 직결된 농림수산식품 등의 수입 원재료값은 12.1%나 떨어졌다. 설사 원재료값이 올랐다 하더라도 개별가격에 미치는 영향은 1%에 불과하다는 분석도 나온다.

더구나 최근 2~3개월 사이 식품가격 인상 도미노가 이어진 것은 업체들이 정권교체기를 틈타 ‘꼼수 인상’을 했다는 비난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대목이다.

결국 정부가 지난 21일 ‘물가안정을 위한 주요 식품업체 협의회’를 열고, 업체들에게 가격인상을 자제해 달라고 한마디 했다고 한다.

그러나 원재료값 인상 압박을 받고 있는 식품업체로서는 ‘쇠귀에 경 읽기’식이 될 수밖에 없다. 정부는 각종 공공요금을 앞다퉈 올리면서 민간에만 희생을 요구하는 게 아니냐는 볼멘소리가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물가 문제는 늘 사후약방문 식이라 쉽게 해결하기 힘들다. 25일 새로 출범한 박근혜 정부는 이제부터라도 민생과 직결되는 물가관리의 고삐를 죄어야 한다.

새 정부의 최대 공약인 복지는 서민 생활을 버겁게 하는 물가잡기부터 시작해야 마땅하다. 물가안정이야말로 돈 안 들이고 복지를 실현하는 지름길이기 때문이다. 서민물가를 팽개치고서는 당당하게 ‘민생 정치’를 말할 수 없음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일간투데이 김보람 기자]

저작권자 © 일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