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진국에서는 줄기세포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황우석 사태이후 연구가 침체된 분위기다. 이대로 가다가는 선진국에 비해 격차가 커지지 않을까 우려되는 실정이다.

그동안 오피니언 란을 통해 이 분야 관련 글을 소개한 박 재우 스템스줄기세포전문클리닉 대표를 통해 ‘알기 쉬운 줄기세포’를 시리즈로 정리해 본다. <편집자 주>

난자와 정자가 수정되어 하나의 세포가 되어 태아를 형성하기 전 까지의 모든 줄기세포를 배아줄기세포라 한다면 태아가 형성된 후, 태아 내의 모든 줄기세포는 ‘성체줄기세포’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성체줄기세포는 인간 내의 조직에 손상이 올 경우 손상된 조직을 치료, 치유하는 역할을 한다. 배아줄기세포 역할은 인간의 한 장기 형성에 목적이 있다면 성체줄기세포 역할은 즉 ‘치유줄기세포’라고 할 수는 것 이다. 좋은 예가 골절 이다. 골절 된 뼈를 잘 맞추어 놓으면 골수 내, 외에 존재하고 있는 성체줄기세포의 치유 역할로 뼈가 재생성 되는 것 이다. 대퇴골수 무혈성괴사 같은 죽은 뼈에는 이러한 성체줄기세포가 존재하지 않고 또 성체줄기세포가 이동할 수 있는 혈관 또한 부족하기에 괴사된 뼈가 재생 치료 될 수 없는 것 이다.

현재 성체줄기세포는 인체 내의 모든 줄기세포를 일컫는 말이다. 인체의 모든 부위: 피부, 근육, 뼈, 치아, 골수, 지방, 내장, 뇌를 포함하는 신경 등 에도 줄기세포가 분포 되어 있다. 예전에는 뇌에는 줄기세포가 없으므로 뇌를 재생 치료 하다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알려져 있었지만 근래에는 뇌에도 성체줄기세포 즉 치유줄기세포가 존재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성체줄기세포는 어느 부위에서 얻어 질 수 있는지에 따라서 이름이 또 바뀐다. 성체줄기세포가 지방에서 얻어지는 것을 ‘지방줄기세포’, 골수에서 얻어지면 ‘골수줄기세포’, 제대혈에서 얻어지면 ‘제대혈 줄기세포’라고 한다. 또 배아줄기세포는 태아를 형성하는 당시 중배엽 또는 간엽 부분에서 뼈, 연골, 근육 등을 생성하는데 이러한 이유로 간엽성의 성체줄기세포를 ‘간엽줄기세포’라고 부르기도 한다.

성체줄기세포 치료는 1960년대 미국서 골수를 백혈병 치료에 사용하면서 시작하였다. 백혈병 치료제인 치유줄기세포 치료인 것이다. 점차적으로 골수에는 조혈모 줄기세포 외에도 다른 줄기세포가 있다는 것이 알려졌다. 이 다른 줄기세포가 간엽성의 줄기세포 또는 간엽줄기세포로 후에 밝혀졌다.

이 후로 제대 혈에서도 줄기세포가 있고 이 줄기세포 또한 백혈병 치료제로 쓰일 수 있다는 것이 밝혀져 제대혈 줄기세포 은행들이 생기기 시작했다. 이 후 제대혈 줄기세포를 연골재생 또는 뼈재생 치료제로 쓰기 시작하였다. 또 1990년대 말 부터는 미국서 골수에서 채취한 줄기세포를 배양하여 퇴행성관절염 환자에게서 연골 재생 치료를 하기 시작하였다. 이 당시 골수에는 성체줄기세포 숫자가 많지 않기에 골수에서 얻은 줄기세포를 숫자적으로 키우는 배양을 하여 쓰기 시작하였다.

2000년 대 초, 지방 조직에는 많은 양의 성체줄기세포가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 지방조직에서 추출할 수 있는 지방줄기세포 양은 너무 풍부하기에 배양 없이 사용할 수 있다는 것 또한 밝혀졌다.

2011년도에는 국내에서 세계 최초로 지방줄기세포를 퇴행성관절염 환자들에게 사용하여 연골재생 치료에 성공하였고 또 지방줄기세포를 대퇴골두 무혈성괴사증 환자들에게 사용하여 뼈재생 치료에 성공하기도 하였다. 획기적인 사건 일 수 있다. 퇴행성 관절염, 대퇴골수 무혈성괴사, 척추관 협착증, 척추 디스크 증상 등에 새로운 연골재생, 뼈재생 치료가 가능하다는 것을 입증한 것이다.

현재 성체줄기세포는 치유줄기세포 치료제로 여러 질환에 사용되고 있다. 다음에는 성체줄기세포 치료 가능 질환들에 대하여 알아 보겠다.

  

 

박재우 스템스줄기세포전문클리닉 대표

 

 

 

 

 

.

 

 

저작권자 © 일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