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증시가 한꺼번에 들이닥친 '4대 악재'에 요동치고 있다. 미국과 중국 발 리스크, 원자재 가격 폭락, 신흥국 자금 유출 등이 앞서거니 뒤서거니 상호 혼재되며 상황을 악화시키고 있다. 특히 심상치 않은 중국 경제의 실상을 들어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중국 발 글로벌 위기가 찾아올 수 있다는 경고가 잇달아 나오고 있다.

위기설의 진원지는 미국이 9월쯤 금리를 올릴 것이라는 기대에다, 중국 경제 둔화와 위안화 가치 하락이 더해져 신흥국 중심으로 통화가치가 하락하고 있는 데서 찾을 수 있다. 우리도 익히 경험하고 있지만 통화가치 하락은 신흥개발국 등지에서 외화 자금이 역외로 빠져나가는 것을 뜻한다.

더구나 중국이라는 변수가 더해지고 있다. 중국 경제가 불안하고 위안화 가치마저 떨어지면서 중국에 투자된 자금이 빠져나갈 가능성이 높아졌다는 얘기다. 중국경제의 경착륙이 우려된다. 문제는 우리 경제에 큰 타격이 예상된다는 사실이다. 중동호흡기증후군(MERS·메르스) 사태에 이어 차이나 쇼크까지 이어지면서 우리 경제는 더욱더 벼랑 끝에 선 양상이다. 올해 상반기 우리나라의 중국에 대한 수출 비중은 25.5%로 미국(13.2%)의 두 배 가까이 된다. 올해 1분기 한국의 대중국 투자액은 16억2000만 달러로 일본, 싱가포르, 대만 등을 앞지르고 있다. 우리 경제에 ‘중국 리스크’가 그만큼 커졌음을 뜻한다.

임종룡 금융위원장은 25일 금융시장동향 점검회의에서 거래소와 금융투자협회, 국제금융센터 등 관계기관장들에게 “해외 시장동향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파악해 적시에 대응할 것”을 주문했다. 적절한 조치이다. 물론 해외 불안요인이 계속될 수 있는 만큼 관련기관의 적극적 노력이 요청된다. 당국은 관계기관 합동 시장점검회의를 지속적으로 운영할 예정이라고 한다. 수출과 내수가 부진한데다 중국의 거품붕괴는 우리 경제에 치명상을 줄 수 있기에 더욱 경각심을 갖고 대처해야 할 때이다. 당국과 기업의 촘촘한 비상 대응책이 요청된다.
저작권자 © 일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