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공사비가 약 5,600억원인 공공공사 입찰 설계심의 과정에서 황당한 일이 또 벌어졌다.

한국도로공사가 대안으로 발주한 고속도로 한 공구의 설계심의 결과 총 14명의 평가위원 중 한 위원만이 다른 위원들과는 전혀 다른 잣대를 적용했기 때문이다.

설계를 평가한 12명 위원(위원장은 평점하지 않음)이 대안에 응한 3개 컨소시엄별 평점 분포가 큰 편차 없이 적절한 반면에 유독 전기분야 한 위원만의 결과는 1위 업체와 3위 업체간의 평점 편차가 13,5점이나 되는 기이한 결과로 나타났음이다.

결과적으로 최고점수와 최저점수가 평점산정에서 배제되는 평가시스템에 의해 영향력에선 배제됐다고 하나 한 사람 평가위원으로 인해 심의의도는 뒤죽박죽이 됐고, 아이러니 하게도 최선을 다해 심의에 임한 13명 위원의 노력과 도덕성에 치명적 상처를 줄 수 있었다는 사실이다.

더욱 안타까운 것은 12명 위원의 전문 분야가 이 공사에 절대적으로 중요한 토질, 도로, 구조, 시공, 기계분야 등 임에 반해 공사비 비중이 채 5%도 되지 않는 전기분야 1명 위원의 선택에 의해 심의 결과가 결정되는 모순을 우리 건설업계가 목도 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같은 경우 결코 간과할 수 없는 의혹과 문제점을 발견케 된다.

첫째, 응찰 업체 입장에서 볼 때 적과 동지로 확연히 구별될 수 있는 문제의 한명 평가위원의 본공사 평가위원 진입이 우연이었을까 하는 점이다.

관행적으로 업계는 턴키, 대안등 설계능력이 수주를 좌우하는 경우 전체 평가위원 중 당해 공사에 참여 가능한 위원들을 2~3배수로 압축하고 그들을 우군화 하는데 총력을 기울인다.

이때 절대 우군이라고 생각되는 인물이 해당공사 평가위원이 되는 것은 금상첨화. 또 그렇게 하기 위해 업계는 기상천외한 가공할 수단을 동원해온 것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업계의 초미의 관심의 대상인 본건의 경우 발주처는 평가위원 선정부터 외부기관에 의존했어야 한다는 아쉬움이 남는다.

둘째, 턴키, 대안의 발주방식 의도가 기술력 평가임을 전제할 때 전체 공사의 비중에서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떨어지는 특정분야 평가위원 한사람에 의해 설계심의의 본질이 훼손될 가능성이 무한 존재하고 있다는점이다.

정부당국은 추진중인 조속한 설계심의 기구 상설화를 통해 정부와 업계간 또 업체와 업체간의 설계심의와 관련된 불신의 해소와 허점투성이인 제도로 인해 불이익을 받는 피해자가 발생하지 않도록 특단의 조치를 취해야만 하겠다.
저작권자 © 일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