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30일 우여곡절 끝에 한국토지주택공사법이 입법절차를 마쳤다.
이로써 98년부터 시작되어 10년을 끌어온 지리한 주공, 토공 통합논의가 종지부를 찍었다.

98년 외환위기 직후 공기업 구조조정이라는 명분을 걸고 시작된 두 기관의 통합은 이명박 정부 출범과 함께 공기업 선진화로 통합명분을 바꿔달고 속도를 내었다. 그리고 이름에서조차 양기관 통합냄새가 물씬 나는 거대 공기업이 탄생된 것이다.

10월1일 출범하는 통합공사는 자본금 30조원, 자산 105조원, 부채 85조7525억, 인원 7367명인, 자산 규모로 단일 국내 최대기업이 되었다.

이번 두 기관 통합의 명분은 공기업선진화다. 당연히 공룡 기업이 된 통합공사는 주어진 역할에 배가의 효율성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경제적 어려움에 처한 국가의 위기를 타개해가는데 선도적 책임을 다해야만 하겠다.

앞으로 본격활동이 시작되는 통합법인설립위에 대한 기대가 남다른 것도 이 때문이다.

어쩌면 법률적 통합은 물리적 절차에 불과하다. 사실상 통합의 성패는 지금부터 시작되는 후속조치에 달려있기 때문이다.
우선 통합을 둘러싸고 갈등의 골이 끝간데 없이 깊어진 두 조직간의 화합이다.

지금 양 기관은 통합시 업무가 중복되는 유사부서의 동요가 가장 심각하다. 제도권에서 평생을 지내온 그들의 상식만으로도 스스로의 입지가 불투명하기 때문이다. 관리, 택지개발, 그리고 지방조직등은 통합조직의 형태와 무관, 일원화 영순위나 다름없기 때문이다.

설상가상 양 기관 주변에서는 조직이 큰 주공을 근간으로 토공을 합병해야한다는 확인되지 않은 대통령의 통합원칙이 빠르게 전파되고 있다.
이들을 안정시킬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이들 간에 유포되는 유언비어의 차단이며 그것은 발빠른 법인설립위의 후속조치가 생명이다.

이와 함께 여러 형태로 검토되고 있는 통합본사 이전에 관한 문제다.
이미 정치적 쟁점으로 까지 비화된 진주와 전주간의 논쟁은 솔로몬의 지혜가 요구되는 뜨거운 감자나 다름없다.
다만 이전지를 결정함에 있어 두 지역의 민심만을 의식한 나머지 통합의 본질이 왜곡되는 정치적 결정은 배제 되어야만 하겠다.

그것은 극렬한 반대를 무릅쓰고 이룩한 이번 통합의 대명제가 공기업선진화이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일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