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를 향한 경고음이 커지고 있다. 불투명한 미래를 예고하고 있다. 오랜 내수 경제 침체에다 미국과 중국 등 해외시장마저 얼어붙고 있는 현실에서, 설사가상 권위 있는 국제기구들마저 어두운 전망을 내놓고 있다.

국제통화기금(IMF)마저 한국 경제의 저평가 대열에 동참한 게 잘 말해주고 있다. 코시 마타이 IMF 아시아·태평양담당 부국장은 최근 미국 뉴욕에서 열린 ‘한국경제 리뷰’ 간담회에 참석해 내년 성장률 전망치의 하향 가능성을 내비쳤다. 그는 “아직 4분기 지표는 나오지 않았지만 3분기 경제 지표를 보면 아마도 한국 경제성장률을 낮춰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IMF는 지난 10월 우리나라의 성장률 전망치를 올해 2.7%, 내년 3.0%로 각각 발표했다.

앞서 지난달에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내년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을 종전 3.0%에서 2.6%로 끌어내렸다. OECD는 특히 정치적 불확실성을 성장률 전망 하향 조정 이유 중 하나로 꼽았다. 국제기구가 한국의 성장률 전망치를 제시하면서 정치 리스크를 주요 요인으로 지목한 이례적이다. ‘최순실 사태’에 따른 국정 혼란이 경제로 전이될 가능성을 시사한 것으로 우려가 현실화할 가능성이 커졌다는 사실이다. OECD가 “국내적으로 정치적 불확실성이 단기적인 위협 요인”이라고 지적한 게 뒷받침하고 있다.

문제는 이 같은 대형 먹구름들이 한꺼번에 쉴 새 없이 몰려오고 있다는 점이다. 우리에게 위기는 이미 턱밑까지 와 있다. 가계부채가 손을 쓸 수 없는 속도로 늘고 있는데 트럼프 당선 이후 미국발 금리 상승 우려가 커지고 있다. 트럼프 당선자가 재정투입을 늘려 인프라 투자를 확대한다고 하자 미국의 국채금리가 연일 뛰고 있다. 시장금리가 위쪽을 향해 내달리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런 미국 발 금리 상승이 한국 시장에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 현 유일호 경제부총리든 경제부총리에 내정된 임종룡 현 금융위원장이든 단일성 컨트롤타워를 중심으로 경제위기에 능동적으로 대처해야겠다.
저작권자 © 일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