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계가구 작년 182만 '급증'

30대·고령층에 두드러져
지역별론 수도권 취약


무리하게 빚내 주택구입
'하우스 푸어' 주원인

금리상승·실직 여파
한계가구 증가세 부추겨



[일간투데이 송호길 기자] 가계부채를 떠안고 있는 한계가구가 급증하면서 부실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연령층별로는 내 집 마련을 목적으로 한 30대와 은퇴한 60대 이상, 지역별로는 지속적으로 주택값이 오르면서 빚을 더 내야 하는 수도권 가구에서 한계가구 증가가 두드러졌다.

20일 통계청에 따르면, 한계가구는 지난 2015년 158만3000가구에서 지난해 181만5000가구로 14.7% 늘었다. 금융부채가 있는 가구 중 한계가구 비중은 같은 기간 14.8%에서 16.7%로 확대됐다.

한계가구란 소득이 낮아 부채가 자산보다 많아지고 원리금 상환액이 처분가능소득의 40%를 초과하는 상황을 말한다.

연령별로는 가구주가 60대 이상 고령층과 30대 청년층에서 비중이 각각 18.1%, 18%로 컸다. 특히, 30대 한계가구 비중은 전년 14.2%에서 3.8%p 상승해 전체 연령대에서 증가세가 가장 가파랐다.

지역별로는 수도권 지역의 비중이 18.9%로 비수도권 14.6%에 비해 높다. 수도권을 중심으로 아파트 분양 및 주택 거래가 활발하게 이뤄지면서 무리하게 빚을 낸 가구들이 많았던 탓으로 풀이된다.

직업별로는 무직·무급·특수고용 가구(22.7%), 종업원을 둔 고용주 가구(22.4%), 종업원이 없는 자영업자 가구(18.2%)에서도 한계가구 비율이 높았다. 소득이 적은 소득 1분위(하위 20%)에서도 한계가구 비중은 23.8%에 달했다. 한계가구로 내몰린 주요 원인은 주택을 마련하기 위해 낸 빚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주택담보대출자(이하 주담대) 가운데 한계가구 비중은 22.7%로 주담대가 없는 가구(13.4%)보다 높았다. 자기 집 거주자 중에서도 19.0%로 평균보다 높았다. 집을 갖고 있지만, 대출이자 부담으로 빈곤하게 사는 사람을 일컫는 전형적인 '하우스 푸어'인 셈이다.

자료=정세균 국회의장 정책수석실, 통계청 그래픽=연합뉴스

한계가구의 연체 증가도 우려된다. 지난해 한계가구의 가처분소득 대비 원리금상환액(DSR)은 112.7%로, 2012년 84.2%에서 급등했다. 연평균 처분가능소득보다 원리금이 더 큰 폭으로 상승했기 때문이다. 이는 소득만으로는 빚 상환이 어려워 또 다른 빚에 의존해야 함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한계가구의 금융자산 대비 금융부채는 278.8%였다.

문제는 앞으로다. 금리가 상승하고 고용 한파 등으로 실직해 소득이 줄어들게 되면 한계가구는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한계가구 스트레스 테스트 결과 소득이 그대로인 가운데, 금리가 3%p 상승하면 한계가구는 181만5000가구에서 193만9000가구로 늘어나는 것으로 분석됐다. 또, 금리가 유지되지만, 소득이 10% 감소하면 한계가구는 197만6000가구로 증가했다. 소득과 금리 두 가지 충격이 동시에 발생하면 한계가구는 214만7000가구로 급증했다.

이와 함께 금융부채가구대비 한계가구 비중은 16.7%에서 19.8%로 크게 늘어났다.

홍준표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최근 경기침체 여파로 구조조정 등으로 일자리가 감소한 게 한계가구 급증을 부추긴 큰 원인"이라며 "저소득층 한계가구가 중금리 대출을 받을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유도하는 방안을 추진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저작권자 © 일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