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날 인류는 문명사적 전환기를 맞고 있다. 큰 흐름은 모든 것이 하나로 연결되고 융합되는 지능정보사회로 빠르게 전환되고 있다는 사실이다. 우리 일상생활에 혁명적인 변화가 예상되는 제4차 산업혁명의 시대를 맞이한 것이다. 현실이 이러함에도 우리는 시대흐름을 적극적으로 주도하지 못하고 있다. 구한말과 버금가는 혼돈의 소용돌이에서 헤매고 있다. 국민소득은 거의 10년째 2만 달러대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국내외 정세도 우리에게 불리하게 급변하고 있다. 미국 트럼프 정부의 보호무역정책과 지난해 12월 미국의 금리인상 단행과 금년에 예정된 추가 인상 우려로 인한 가계부채에 대한 이자부담 상승, 소비위축, 경기침체 등의 악순환으로 우리 경제에 대한 불안감이 확산되고 있다. 또한 ‘박근혜·최순실 게이트’에 연루된 대통령의 구속으로 국정공백은 커지고 있다. 이 극심한 혼란 상태에서 우리경제도 패닉 상태에서 헤어나지 못하고 있다.

5월 9일 탄생할 새 정부와 정치권, 기업 등이 하나 돼 미래 먹을거리 창출을 위한 지혜모으기에 나서야겠다. 미국, 독일, 일본, 홍콩 및 중국 등 주요 선진국들은 주도적으로 이끌고 있다. 이들의 4차 산업혁명 전략은 비교 우위에 있는 자국의 기존 산업의 강점을 극대화하는 방식으로 요약된다. 4차 산업혁명은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로봇기술 등의 융합과 연결, 지능화로 언제 어디서나 소통이 가능해지는 초연결의 시대로의 변혁을 말한다. 제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실제 현실과 가상현실이 통합되고 모든 사물이 자동적, 지능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산업화는 늦었지만 정보화시대에는 발 빠르게 대처해 세계 10위권까지 도약했던 한국 경제가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준비는 미흡하고 아직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 다보스포럼에서는 우리나라의 제4차 산업혁명 준비도를 세계 129개국 중 경쟁국에 뒤진 25위로 평가했다. 참담한 수준이다.

지금이라도 지능정보사회에 요구되는 소프트웨어 역량 함양을 위한 초중고에서의 교육 변화가 일어나야 한다. 이미 세계 선진국들 소프트웨어 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초중고 교육과정에 의무화해 운영하고 있다. 현재의 SW 교육 시수로는 우수한 소프트웨어 인재를 양성하기에는 매우 부족한 측면이 있다. 인공지능과 4차 산업혁명이 만들어 내는 세상에 대한 해답은 오직 인간이 가지고 있다. 이에 적합한 인재를 양성하는 것이 국가 미래를 위해 가장 중요한 일인 것이다.

위기가 곧 기회이다. 우리는 먼저 제4차 산업혁명을 제대로 이해하고 준비를 철저히 해야 한다. 4차 산업의 준비도가 우리의 미래를 결정한다. 민관이 힘을 합쳐 제4차 산업혁명의 마스터플랜을 짜고 성공적으로 수행해 국민소득 3만 달러, 아니 10만 달러 대 진입으로 선진국 시대를 열어야겠다.

세계 최정상인 우리의 최첨단정보통신기술이 기업과 정부, 개발자 간 협력으로 세계의 표준을 선도하도록 해야 한다. 법과 제도도 선진국과 같이 ‘해서는 안 되는 것만 규정하는 네거티브 규제’로 바꾸어야 한다. 첨단인력을 육성하고 제4차 산업혁명이 가져올 경제, 사회, 고용, 교육 등 다양한 분야의 파급효과에 대한 대응책도 강구해야 한다. 대선후보들부터 이런 주제를 심도 있게 논의하길 바란다.
저작권자 © 일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