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획특집팀 홍보영 기자
[일간투데이 홍보영 기자] 이른 폭염이 시작됐다. 날씨 탓일까. 우발적인 범죄 소식이 자주 들려온다.

지난 16일, 충청북도 충주에서 인터넷 속도가 느리다는 이유로 수리기사를 살해한 50대 남성이 구속됐다.

지난 13일에는 연세대 대학원생 김모(25)씨가 교수 연구실 앞에 둔 폭발물이 터져 해당 교수의 손, 목, 얼굴 등이 화상을 입었다. 조사결과 논문 작성과 관련해 여러 차례 질책을 한 것에 대한 분풀이로 드러났다.

그보다 앞선 8일, 경상남도 양산에서 15층 아파트에서 거주자가 외벽 도색을 하던 작업자의 밧줄을 끊어 숨지게 한 사건이 발생했다. 작업자 김모(46)씨의 휴대전화 음악 소리가 시끄럽다는 이유에서다.

이 사건들은 모두 분노를 참지 못하고 저지른 분노조절장애 범행이다. 이 같은 범죄는 점점 늘어나고 있는데다가 수위도 흉악해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더 이상 분노조절장애를 개인적인 문제로 치부할 수 없다고 입을 모은다.

경찰청에 따르면, 2015년 상해‧폭행 등 폭력범죄 37만2723건 중 우발적이거나 현실 불만에 의해 범행을 저지른 경우가 무려 41.3%에 달했다. 이는 살인이나 살인미수 범죄 건수 975건 중에서도 41.3%를 차지했다.

이처럼 분노를 참지 못해 벌어지는 범죄가 증가하는 원인은 치열한 경쟁사회에서 쌓인 스트레스를 해소할 적절한 창구를 찾지 못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특히 분노범죄의 대상은 주로 힘없는 여성이나, 아동, 노약자 등이기 때문에 분노조절장애 범죄 예방을 위한 사회안전망 구축이 절실한 시점이다.

무엇보다 정신 건강관리를 감기 다루듯 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한다. 한국사회에서는 유독 정신적 질환을 격리해야 할 이상 문제로 취급하는 경향이 있는데, 해외에서 정신과 상담은 그리 유별난 일이 아니다.

당장 성과주의의 경쟁적인 사회 시스템을 바꿀 수 없다면, 스트레스 지수가 높은 환경에서 상생할 수 있는 현실적인 대안을 찾아야 할 것이다.

스트레스를 잘 관리하지 못하는 것조차 무조건 개인의 능력 부족으로 치부할 게 아니라, 사회 공동의 책임의식을 가질 필요가 있지 않을까.
저작권자 © 일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