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층 경제활동 참가율은 낮고, 고령층은 높아

[일간투데이 홍보영 기자] 대한민국의 노동 생산성이 크게 저하되고 있다. 청년층 경제활동 참가율은 낮고 고령층 참가율은 높은 현상이 지속되고 있다.

12일 OECD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 25~29세의 경제활동 참가율은 76.7%로 회원국 35개국 중 칠레와 함께 공동 31위를 기록했다. 이와 반대로 65세 이상 고령층의 경제활동 참가율은 최상위권으로 나타났다.

20대 후반 경제활동 참가율의 OECD 평균은 80.5%로 한국보다 3.8%포인트나 높다.

1, 2위를 차지한 스위스(90.9%), 아이슬란드(90.1%)는 90%대에 달하고 3위인 일본(88.0%)도 한국보다 11.3%포인트나 높았다.

30대 초반에서도 비슷한 모습이다. 국내 30~34세 경제활동 참가율은 77.7%로 꼴찌에서 4번째인 32위에 머물렀다. OECD 평균은 82.0%이다.

슬로베니아(93.6%), 룩셈부르크(93.1%), 포르투갈(92.1%), 스위스(91.5%), 스웨덴(90.7%), 아이슬란드(90.6%) 등 상위 6개국의 이 연령대 경제활동 참가율은 90%를 넘었다.

가장 활발히 경제 활동을 해야 할 20대 후반, 30대 초반의 경제활동 참가율이 이토록 낮은 이유는 군 의무 복무라는 특수한 상황과 일·가정 양립이 어려운 사회 문화 때문으로 보인다.

여기에 최근 청년 취업 한파까지 겹치면서 경제활동 진입을 늦추려는 청년이 늘었고, 공무원 시험을 준비하는 '공시생'이 증가해 경제활동 인구로 잡히지 않고 있다.

반면, 일하지 않고서는 먹고 살기 어려운 고령층은 취업시장을 떠나지 못하고 있다.

지난해 65세 이상 고령층의 경제활동 참가율은 31.5%로 아이슬란드(40.6%)에 이어 두 번째로 높았다.

한국 수치는 OECD 평균인 14.5%의 2배에 달했다.

연금 제도가 성숙하지 않은 터라 주된 일자리에서 은퇴하더라도 생계형 창업을 하거나 단순·노무직으로 재취업하는 경우가 많다.

이에 전문가들은 경제활동 인구 노쇠화가 생산성 저하로 연결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정성미 한국노동연구원 전문위원은 "일·가정 양립 문제, 노인 빈곤 등 사회복지 문제가 같이 얽혔고 최근 청년층 취업 여건이 좋지 않은 상황까지 겹친 것"이라며 "장기적인 시각에서 사회복지 시스템을 정비해야 해결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경제활동 참가율은 15세 이상 인구 가운데 취업자와 실업자 등 경제활동인구의 비율을 의미한다.
저작권자 © 일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