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안보 상황이 초긴장상태다. 북한 김정은 정권의 핵과 미사일 도발을 억제하려는 한국과 미국의 ‘응징’ 의지에 실제 전쟁 발발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쏟아지고 있는 것이다. 인터넷상에선 '미국의 북한폭격 예정설' 급속히 확산되면서 국민 불안감이 증폭되고 있다. 미국의 첨단 전략자산이 한반도에 집결하는 상황은 이를 잘 보여주고 있다.

경제는 어떠한가. ‘한국 경제호’ 앞에 풍랑이 거세다. 이른바 ‘퍼펙트 스톰’이 몰려오고 있는 것이다. 중국의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보복으로 한국제품의 중국 내 판매 부진과 한국을 찾는 중국관광객인 유커(遊客)의 발길이 거의 끊긴 실정이다. 여기에다 내년에 시행될 최저임금 인상과 통상임금 판결 후폭풍, 미국의 금리인상 등 대내외 악재가 동시다발로 터질 경우 기업들에 가해질 충격이 최대 연 82조7000억에 이르는 것으로 분석된다는 통계가 있을 정도다.

이런 상황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27일 여야 5당 대표와의 회동을 갖는다. 한반도 안보위기 해결을 위한 ‘유엔외교’ 성과를 설명하며 정치권의 초당적 협력을 구할 것으로 보인다. 그 일환으로 ‘여·야·정 국정 상설협의체’ 구성을 매듭짓겠다는 구상이다. 그러나 홍준표 자유한국당 대표는 불참 입장을 고수 중이다. 제1야당이 빠지면 이번 회동을 통한 ‘안보 협치’ 의미와 효과는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안보 수호 세력임을 자임해온 정당으로서 온당한 처신으로 보기 어렵다. ‘초당적 안보협력’은 한국당이 여당 시절에 수없이 주문했던 사안이다.

그러나 작금의 상황을 보면 무조건 한국당만 탓할 수도 없다. 모든 걸 ‘적폐’로 규정하고 단죄하려는 여권의 태도 또한 비판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노무현 전 대통령의 자살을 놓고 정진석 한국당 의원의 페이스북 발언을 둘러싼 공방은 단적 사례다. 일촉즉발 안보위기에도 정쟁만 일삼는 여야의 모습은 참으로 개탄스럽다. 나라는 바깥에서 치기 전에 내부에서 먼저 무너진다는 역사의 교훈을 망각해선 안 된다.
저작권자 © 일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