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경제 활로의 관건은 산업평화다. 특히 글로벌시대 국제 경쟁력이 뒤처지는 업종은 노사 간 공감대 위에 생산성 제고에 힘써야 함은 마땅한 일이다.

사리가 이러함에도 현대자동차 노조가 올해 임금과 단체협약 교섭이 난항을 겪자 또다시 파업을 벌인다. 지난 8월 전 노조 집행부 당시 임단협 파업 이후 4개월 만의 재파업으로 올해 들어 10번째 파업이다. 노조는 지난달 30일 열린 쟁의대책위원회 회의에서 12월 5일부터 8일까지 나흘간 연속 부분파업하기로 했다. 현대차 노조 행태는 설득력이 약하다. 노조가 생산성 개선 노력 없이 파업 등 무력시위를 통해 이득만 챙기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는 이유이기도 하다. 

현대차 노조를 향한 비판이 거센 이유는 자신들의 요구를 사측에 관철시키기 위해 '파업'을  악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현대차 노조는 2013년 40년 넘게 지속한 야간근무폐지를 밀어붙여 현재의 근무 형태를 도입했지만, 이는 주요 완성차 업체와는 반대되는 모습이다. 폭스바겐의 경우 야간 근무를 포함해3교대 등으로 공장이 돌아간다. 시장의 불확실성에대비하기 위한 것으로 노조도 사측의 공장운영 방침에 동참하고 있다. 현대차 노조와는 대비되고 있다. 현대차는 앞선 파업으로 3만천여대의 생산 차질이 빚어져 8천억원이 넘는 매출 손실이 발생했다. 역대 최악의 파업으로 기록된 지난해의 경우 24일간 파업으로 사상 최대 규모인 14만2천대의 생산 차질로 매출 손실 3조1천원을 기록했다.

사실 현대차노조의 파업은 상식의 궤를 크게 벗어난다. 최근 파업 이유인 생산라인에서 신차를 양산하거나 추가 생산하려면 노조 동의를 받아야 한다는 단협 규정 같은 경우가 대표적이다. 현대차 파업 사례가 이렇기에 노동개혁이 왜 절박한 과제인지를 단적으로 뒷받침하고 있는 것이다.노정당국은 현대차노조의 불·탈법 행위에 대해 의법 처리해야 할 것이다. 현대도 노조의 파업·생산방해 행위에 대해 사규와 법률에 의거해 엄정하게 대처한다. 글로벌 판매 감소 등 최악의 위기에 직면한 상황에서 더 이상 노조에 일방적으로 끌려가선 안 된다. 현대차의 1인당 평균연봉은 1억 원 정도다. 하지만 1인당 생산성은 8000만원 수준인 일본 도요타자동차의 40% 수준에 불과한 실정이다. 최근 방한한 국제통화기금(IMF) 협의단은 “한국의 노동생산성이 미국의 50% 수준”이라고 진단했잖은가.

생산성은 낮으면서 고임금을 받는 ‘귀족 노조’가 어려움에 빠진 회사와 협력업체 근로자들의 고통을 외면하고 돈 더 내놓으라며 파업하는 건 배부른 자의 억지일 뿐이다. 회사가 성장해야 일자리도 보전 받는다. 위기 상황인데 제 밥그릇만 챙긴다면 정상에서 추락하는 것은 순식간임을 직시하길 바란다.

현대차는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보복에 중국 판매량이 급감하고 영업이익이 반토막 가까이 줄어드는 등 국내외에서 역대 최대 위기에 빠져 있다. 이런 현실에서 노조가 무분별한 파업 관행을 탈피하지 못하면 기업은 해외로 나갈 수밖에 없다. 대기업들이 국내 투자를 줄이고 해외에 공장을 짓는 연유이다. 기업은 생산성이 높고 고용 환경이 유연한 곳을 찾아가게 마련이다. 일터가 없는 노조는 존립 근거를 상실케 된다는 사실을 현대차 노조는 바로보길 비란다.
저작권자 © 일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