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자동차업체 제네럴모터스(GM)의 기업윤리 실종을 비판하지 않을 수 없다. 한국GM이 전북 군산공장을 5월 말까지 폐쇄하기로 결정했다. 그러면서 경영 정상화를 위해 정부와 산업은행의 지원, 노조의 협조가 필요하다고도 했다. 사업 철수를 시사하면서 2대 주주인 산업은행에 5천억∼6천억원의 추가 증자 지원을 압박하는 측면이 강하다.

갑작스런 공장 폐쇄 방침에 의구심이 강하다. 한국GM의 연결감사보고서를 조사한 결과 한국GM은 수익성이 좋은 회사로 분석된다. 한국GM은 지난 15년간(2002~2016년) 영업활동을 통해 4조 3천541억원을 벌어들였다. 2002년 GM 인수 후 재무제표가 공개된 15년간 매년 영업활동을 통해 평균 2천900억원 이상을 벌어들인 것이다. 상당히 양호한 회사라는 얘기다.

물론 한국GM의 최근 3년간 당기순손실은 2조원에 이르고, 부평·창원·군산 3곳의 공장 중 군산공장 가동률은 20%선에 지나지 않는다. 이런 점에서 폐쇄는 예견된 일이다. 문제는 실직 사태가 우려된다. 130여개 협력업체가 줄도산하고, 이들 업체 임직원 1만1천여명이 일자리를 잃을 위기에 처했다. 지역경제에 대한 간접 영향을 따지면 연관 실직자가 30만명에 이를 수 있다고도 한다. 그렇더라도 노사의 자구노력 없는 정부 지원은 안 된다. 엄청난 적자 속에서도 억대에 가까운 연봉을 받는 귀족노조의 행태를 그냥 두고선 지원해 봐야 회사가 살아날 수 없기 때문이다.

주목할 점은 위기의 결정적 요인이 강성 귀족노조에도 있다는 사실이다. 회사가 어려우면 허리띠를 졸라매고 생산성을 높여 돌파구를 마련하는 게 상식이다. 그러나 한국GM은 차를 팔지도 못하면서 근로자 평균 임금이 2013년 7천300만원에서 2016년 8천700만원으로 20% 올랐다. 강성 노조가 판을 치면서 고비용·저효율 구조는 이미 체질화됐다. 2016년 기준 5개 국내 완성차업체의 1인당 평균 연봉은 9천213만원에 이른다. 일본 도요타 9천104만원, 독일 폴크스바겐 8천040만원보다 훨씬 많다. 반면 생산성은 거의 바닥 수준이다. 1인당 연간 자동차 생산량은 도요타 93대, 폴크스바겐 57대이지만 국내 현대차는 31대에 불과하다. ‘저생산성 고임금’ 구조를 갖고는 어떤 회사도 존속은 어렵다.

한국GM은 직영 서비스센터를 없애고 알짜 부지를 매각하는 방법도 고려 중인 걸로 알려졌다.
한국GM을 정상화하기보다 미국 본사 이익을 키우는 방법만 궁리하고 있다는 비판이 나오는 이유다. 우리 정부는 GM본사가 한국GM의 경쟁력을 키우기 위해 나설 때 자금 지원을 고려해야 한다. GM본사가 자구노력 하지 않는 데 이런 회사를 살려보겠다고 국민 혈세를 지원할 이유는 없을 것이다.
저작권자 © 일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