굴뚝 없는 무공해 청정산업 관광(觀光)-. ‘관광 한국’을 향한 꿈의 나래를 다시 펴는 날이 도래하는가. 그 어느 업종보다 부가가치 높은 관광산업은 21세기에 갈수록 촉망받는 서비스 업종이다. 국내외 여행은 물론 미래 화성, 금성 등 우주여행까지!

하지만 안타깝게도 작금 우리 현실은 암울함 그 자체다. 국가의 관광 수지는 크게 악화일로다. 주한 미군의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사드·THAAD) 한반도 배치 결정 이후 중국 정부의 ‘한한령(限韓令·한류 금지령)’을 비롯한 경제보복 조치가 완전히 풀리지 않으면서 중국인 단체관광객인 유커(遊客)가 한국을 찾지 않고 있는 것이다.

한국관광공사와 한국관광협회 등에 따르면 올 2월까지 유커 입국자는 65만468명으로 전년 동기 115만6천33명에 비해 43.7% 줄어들었다. 사실 지난해 12월 사드 보복조치로 금지됐던 중국인 한국 단체관광이 9개월 만에 풀리면서 유커가 돌아올 것으로 기대됐다. 특히 지난달 평창동계올림픽 특수가 기대됐지만 중국인 관광객 입국자 회복세는 크지 않았다. 사드 보복이 시작된 지난해 3월 이후 지난달까지 1년 동안 한국을 방문한 중국인은 366만3천788명이다. 지난 2016년 3월부터 2017년 1월까지 중국인 입국객이 815만5천366명인 점을 고려하면 1년 만에 55.1% 급격히 줄어든 것이다.

■中 ‘사드 보복’ 해제 약속 실천 기대

이런 실정에서 중국 외교의 핵심 인물인 양제츠(楊潔篪) 정치국 위원이 최근 방한해 유커의 한국 단체관광 금지, 한류 비즈니스에 대한 ‘한한령(限韓令)’ 등 ‘사드 보복’ 대한 정상화 계획을 밝혀 기대감을 갖게 하고 있다. 중국 정부는 사드 배치에 대한 보복의 일환으로 지난해 3월 이후 현지 여행사들의 단체관광 상품 판매를 봉쇄했다. 그뿐인가. 지난해 11월부터는 베이징과 산둥 지역에 한해서만 한한령을 해제하는 ‘뒤끝’을 보였다.

세계 주요 2개국(G2)으로 성장한 중국이 국제적 위상에 걸 맞지 않는 속 좁은 행태로 인해 한국의 관광 수지 적자는 천문학적 수치에 이른다. 당장 내수에 큰 타격을 입고 있다. 중국 관광객들이 유발하는 실질 부가가치를 1인당 약 1천300달러로 추산하면 지난 1년 동안 중국인 관광객 감소에 따른 피해 규모는 약 58억3천900만 달러로서 한화 6조원이 넘는 규모라는 게 한국은행의 추산이다.

우리도 되돌아 볼 점이 없지 않다. 사드 보복조치 해소와 무관하게 중국 관광객의 관광 선호변화에 우리 관광업이 적응하지 못해 발생한 문제라는 비판에도 귀 기울여야 한다. 중국인의 소득이 높아지면서 쇼핑 중심 관광이 휴양 중심으로 바뀌고 있기에 한국관광의 매력도를 개선하지 않으면 중국인 관광객 감소는 계속될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진단이잖은가.

■‘쇼핑투어리즘’ 성공 日 벤치마킹을

눈을 돌려 일본을 한 번 보자. 적자를 지속하던 일본의 관광 수지는 2014년 흑자로 전환된 후 2017년엔 120억 달러(약 15조원) 흑자를 기록했다. 과감한 규제 개혁으로 관광산업 경쟁력을 단숨에 높인 일본을 벤치마킹해야 한다. 일본 정부는 외국인 관광객을 적극적으로 유치하려고 비자 발급을 완화하고 면세제도를 크게 완화했음을 직시해야겠다. 관광객 입국을 위해 공항과 항만을 신속하게 확충하고 숙박시설의 외국인 유치 환경을 개선했다. 그러면서 아베는 ‘쇼핑 투어리즘’을 내걸고 관광객이 일본에서 지갑을 열면서도 즐거운 여행이 되게 만들었다. 이를 위해 소비세 면제 품목을 과감하게 확대해 2012년 4173개였던 면세점이 지난해엔 2만여개로 급증했다.

물론 우리 정부의 노력도 긍정 평가할 만한 하다. 예컨대 관광 관련 범부처 회의체인 '국가관광전략회의'를 신설하고 관광현안에 신속하게 대응하기로 했다. 만시지탄이지만 지속적 추진이 요청된다. 여러 분야가 융합된 서비스산업인 관광산업은 특성상 유관부처 간 정책협력이 필수적인 만큼 전략회의 역할이 막중한 상황이다.

'쉼표가 있는 삶, 사람이 있는 관광'을 살려야 한다. 여행이 있는 일상, 관광으로 크는 지역, 세계가 찾고 싶은 한국, 혁신으로 도약하는 산업 등을 구체화해야겠다. 주의할 점도 있다. 양적·경제적 성과 중심에서 국민, 지역주민, 방한 관광객 등 사람 중심의 질적 정책으로 방향 전환하는 관광 패러다임의 대전환이 시급한 것이다. 우리 스스로 이 정도의 ‘그릇’을 준비해놓고 유커의 한한령이 풀리면 ‘관광한국’의 미래 비전도 찾아오리라고 기대한다. 머잖아서! 주필
저작권자 © 일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