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 도시를 중심으로 아파트 과잉 공급에 따른 미분양이 우려되고 있다. 분양 실적이 실수요를 반영하기보다 정부의 경기활성화 정책에 따른 과열 투자였음이 드러나고 있는 것이다. 지역에 따라 높은 청약 경쟁률을 기록하고도 실제론 계약으로 이어지지 않는 경우도 적지 않다고 한다. 입주물량 증가와 금리인상, 인구유출 등 요인도 다양하다. 하지만 무엇보다 충분한 수요조사 없이 무작정 지어진 게 근본원인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2월 기준 지방 중소도시(수도권, 광역시, 세종시 제외)의 준공 후 미분양 물량은 8천440호를 기록했다. 지난해 1월까지만 해도 4천187호에 불과했지만, 1년 사이에 두 배로 불어났다. 통상 아파트는 청약 시 미분양이 생길 수 있어도 공사기간 대부분 팔리기 때문에 준공 후까지도 남아 있는 물량은 악성으로 꼽힌다.

문제는 지방 중소도시의 미분양 물량이 8천호를 넘어선 게 5년여 만이라는 사실이다. 2010년대 초반 글로벌 금융위기로 국내 부동산 시장이 동반 침체하면서 2만 가구를 웃돌던 것이 꾸준히 줄어 2012년 8천호 아래로 떨어졌다. 설상가상 누적된 공급 물량이 많은데다 금리 인상과 대출 규제 등이 중첩돼 지방 부동산 시장은 한동안 어려운 상황이 지속될 것이라는 점이다. 정부의 부동산 정책이 다주택자 잡기에 쏠리다 보니, 정작 기존에 어렵게 집을 장만한 지방 거주 가구주들은 집값 하락 등을 걱정할 정도다.

여하튼 아파트 공급은 크게 줄어들지 않고 있다. 이런 추세라면 앞으로 1~2년 뒤에 부동산 시장이 전체적으로 위기를 맞을 수도 있다는 우려가 팽배하다. 자칫 건설업체들은 경영난에 처하게 될 것이고, 주택 구입자들도 은행대출 부담에서 쉽게 벗어나지 못할 것이라는 얘기다. 국토교통부 등 당국은 당장 미분양 아파트를 해소하기 어렵다면 신규 공급 물량이라도 속도 조절이 필요하다. 부동산 정책은 서울과 지방의 수요 예측을 종합적으로 분석해 선제적으로 대처하는 지혜가 요청된다.
저작권자 © 일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