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수출의 다변화가 절실하다. 우리 수출의 27%를 차지하는 중국 발 경제 리스크에 대비하는 측면에서도 수출 대상국을 다각화하는 게 긴요한 것이다. 이런 측면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5박 6일간의 일정으로 8일 인도·싱가포르 순방길에 오른 건 평가할 만하다. 한국 경제의 새 성장동력 창출을 위한 발판 마련은 물론 한반도 평화에 대한 아시아 국가들의 지지를 끌어내는 등 다각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인도와 싱가포르는 문재인 정부가 역점을 두고 추진 중인 신남방정책의 핵심 협력 파트너 국가로서 양국 순방은 신남방정책의 이행을 가속화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분석된다. 문재인 대통령은 취임 후 필리핀, 인도네시아 그리고 베트남 등 아세안 주요 국가를 방문했다. 하지만 그 이후 여러 현안 때문에 인도 방문이 미뤄져오다가 남북한 이슈가 어느 정도 가닥을 잡으면서 가까스로 이번 방문이 이뤄지게 됐다.

이번 한·인도 정상회담을 통해 인도에 대한 현실 인식이 개선되길 바란다. 13억의 인구대국이 보여주듯 광대한 시장과 우수한 정보기술(IT) 인력을 보유한 인도는 향후 우리가 개척해야 할 중요한 국가이다. 일본의 인도 진출이 잘 보여주고 있다. 일본은 내용과 외형에서 한국을 크게 앞질러 인도에 세워진 기업단위가 2017년 12월말 기준 약 4천800여개이다.

반면 먼저 진출한 한국은 인도가 변화의 모습을 보여주기 시작한 21세기 이후엔 정부, 기업 그리고 일반사회에 이르기까지 오히려 인도를 상대로 비하하거나 주저했다. 그러나 현재 인도시장에 세워진 한국기업단위는 서비스업종 및 자영업 수준을 망라해도 최대 500여개 정도에 그치고 있다. 설상가상 최근 진출을 시작하는 중국에 비해서도 차이를 보이는 있는 실정이다.

인도가 만들어 내는 국제정치관계에서도 비중이 크고 또 계속 커진다는 명백한 사실 때문이다. 인도를 단일 정책대상국으로 봐야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최소한 신남방정책의 축으로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플러스 인도’라는 미래비전으로 명실상부하게 다뤄야 한다.

문 대통령의 인도 방문을 기회로 친기업적 행보에 대한 기대 또한 크다. 문 대통령은 인도 방문 기간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과 대면한다. 삼성전자가 6억5천만 달러를 투자해 만든 인도 최대의 휴대전화 공장인 노이다 신공장 준공식에 문 대통령이 참석하기 때문이다. 이 부회장이 국정농단 사태와 관련해 재판을 받고 있는 처지여서 이 부회장과의 회동에 상당한 부담을 느꼈을 법하다. 그러나 기업인에게 용기를 주는 일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그래야 일자리 창출도 힘을 받는다.

싱가포르는 6월12일 북·미 정상회담이 보여주듯 ‘아시아의 제네바’로서 한반도 및 아시아의 평화·번영을 위한 상징적 국가로서 이곳에서 채택될 메시지가 눈길을 모은다. 여하튼 경제와 안보는 동전의 양면과 같다. 상호 상승작용을 한다. 탄탄한 안보와 거실한 경제성장은 정비례하는 것이다.

기업과 정부가 수출 품목을 다양화하는 동시에 수출 시장을 넓히고 분산해야 국제정세의 격변으로 경제가 받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국 국토면적의 33배이고 남한인구의 22배 이상인 인도와 아세안의 중심국가인 싱가포르를 공식 방문하는 문재인 대통령이 큰 성과를 거두길 바란다.
저작권자 © 일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