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 포기'-. 양진호 한국미래기술 회장의 '갑질'과 엽기적인 행각 등이 국민적 공분을 사고 있다. 부하 직원 폭행 동영상 공개를 계기로 '음란물 유통'에 따른 사이버성범죄, 황령 등 각종 불법 행태가 드러나면서 구속되기에 이르렀다. 사람이길 포기한 죄악이기에 벌이 있어야 함은 마땅하다.

참으로 개탄스런 일이다. 돈은 좀 벌었는지 모르지만 명예를 잃었다. 나락으로 떨어진 도덕성으로 인해 이후 뼈를 깎는 진정한 참회가 없는 한 '재기'는 어려울 것이다. 매장(埋葬)이다. 하긴 우리 사회에 있는 자들의 '갑질'은 뿌리가 깊다. '땅콩회항' '라면상무' '백화점 여직원 무릎 꿇린 고객' 등 상대적 우위에 있는 이들이 거들먹거리는 행패는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상대를 배려하고 위하는 톨레랑스(Tolerance), 이른바 관용이 너무도 아쉬운 우리 사회다. 재벌 등 기업오너들의 솔선수범이 요청된다. 이른바 윤리경영이다. 윤리경영은 시대 조류다. 글로벌 시대 국제경쟁력을 나타내는 척도라고 해도 지나친 말이 아니다.

■'엽기적 갑질'에 공분…중벌 마땅

그렇다. 재물을 얻더라도 도덕적 가치관을 바탕에 둬야 한다. '대학'은 이렇게 가르치고 있다. "군자는 먼저 덕을 쌓아야 한다(君子 先愼乎德). 덕이 있으면 사람이 있게 되고(有德此有人), 사람이 있으면 땅이 있게 되고(有人此有土), 땅이 있으면 재물이 있게 되나니(有土 此有財) … 덕이 근본이요 재물은 말단이다(德者本也 財者末也)."

윤리경영은 정부규제를 회피하는데 용이하고, 기업의 사회적 이미지를 향상시킨다는 점에서 궁극적으로 기업 가치를 높여 주고, 기업 경쟁력을 강화시킨다. 윤리경영을 단기적인 이해관계로만 보지 않고, 사회 발전에 대한 공헌이라는 관점을 추가해서 본다면 윤리경영 만큼 투자수익률이 높은 사업도 찾아보기 어렵다고 할 수 있다. 윤리경영은 기업이, 경영자가 실천해야 할 본령이요 과제라고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1995년 출범한 세계무역기구(WTO)는 윤리경영을 자유무역기조의 핵심 요소로 제시하고 있다. 이제 모든 기업들이 평등한 조건에서 건전한 경쟁을 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는데 있어 윤리경영은 필요조건이 된 것이다. 자본주의를 채택하고 있는 우리로서 기업윤리는 기업 경영자가 회피하고 유예할 수 있는 대상이 아니라 적극적이고 능동적으로 실천해야 한다.

경영환경은 상시적 위기로 불릴 만큼 경쟁이 심해지고 앞날이 불투명하다. 기업생존과 성장의 도정에는 시장위험뿐 아니라 비시장 위험까지 크게 등장하면서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는 것이다. 이런 위험을 극복하고 지속 성장과 사회적 책임 수행, 사회와 함께하는 가치를 창출하려면 바람직한 경영관행, 경영윤리 확립의 중요하다. 무엇보다 내부고객인 근로자나 조직 구성원들의 만족이 우선적으로 고려돼야 한다. 이를 통해 외부고객인 시장과 사회의 만족으로 연결되는 고리를 찾아야 하는 것이다.

■내 처지 생각해 남 입장 배려를

윤리경영의 방향 또한 중요하다. 단순히 비윤리적인 행위를 하지 않는 소극적인 자세를 넘어서 회사의 핵심 목적과 가치, 그리고 사회법규 준수를 통해 고객 만족을 이끌어 내 더 많은 성과를 창출해야 하는 것이다.

명령이나 권위를 내세우지 않고 상대방의 입장을 최대한 헤아리면서 효과적으로 주위 사람들과 어울려 좋은 결과를 얻기 때문이다. 이른바 '혈구지도(絜矩之道)'다. 내 마음을 잣대 삼아 남의 마음을 재고, 내 처지를 생각해서 남의 입장을 헤아린다는 뜻이다.

'대학' 마지막 장은 '혈구지도'를 이렇게 설명하고 있다. "윗사람이 내게 해서 싫은 것을 아랫사람에게 하지 말고, 아랫사람이 내게 해서 싫어하는 바로써 윗사람을 섬기지 않는다. 오른편에서 싫어하는 것을 왼편에 건네지 않고, 왼편에서 싫어하는 바를 오른편에 건네지 말아야 한다. 이를 일러 혈구지도라 한다(所惡於上毋以使下 所惡於下毋以事上 所惡於右毋以交於左 所惡於左毋以交於右 此之謂絜矩之道)."

우리 사회에는 아직 경제적 평등이나 정치적 민주주의가 자리 잡지 못했기에 부의 양극화, 권위주의가 나날이 심해지고 있고 갑질의 원인이 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사회적 불평등과 부의 양극화 같은 사회 구조적 모순을 해소하고, 사회적 약자의 인권 신장을 기하는 정부 정책 및 시민의식 제고가 시급하다. 칼럼니스트
저작권자 © 일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