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첨단 과학기술 확보 여부에 따라 미래가 좌우된다. 대한민국의 '장밋빛 미래'를 담보하기 위한 이공계 육성 및 영재 확보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문화인류학자들은 말한다. 지난 10여년의 발전은 지나온 100년 동안 축적된 인류의 지식과 맞먹고, 앞으로의 1년이 지난 10년의 지식 축적을 능가하리라는 예측이다. 이처럼 21세기 초엽, 대변혁의 4차 산업혁명시대에 인류의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세상을 바꾸는 중요한 핵심 자원이 바로 이공계 인재다.

문재인정부도 4차 산업혁명의 중요성을 인식, 대응하기 위해 대통령 직속의 4차 산업혁명위원회를 설치하고 운영하고 있다. 사회혁신·교육혁신·전 산업의 지능화 등을 추진해 지능형 국가를 만들겠다는 전략이다. 정부 조직도 개편해 미래창조과학부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 간판을 바꿔 달았다.

그러나 이 같은 과학기술 입국론은 소리만 요란할 뿐이다. 정부의 무관심에 과학기술 생태계가 뿌리째 흔들리고 있는 것이다. 기초과학 전공 학생들이 본인 분야에서 석·박사 학위를 따도 미래가 없다고 판단해 지원자가 줄고 있는 것이다. 문재인정부의 '탈과학기술 정책'이 빚어낸 현상이라는 비판이 일고 있는 것이다.

박경미 더불어민주당 의원실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과기특성화대 기초과학 대학원 중 전년 대비 지원·등록 인원이 동시에 감소한 곳은 울산과학기술원(UNIST), 포항공대(포스텍), 광주과학기술원(GIST) 등 3곳이다. 이 가운데 UNIST는 지난해 지원·등록 인원이 각각 175명과 84명으로 전년 대비 21.9%, 31.1% 줄었다. 같은 기간 포스텍은 지원·등록 인원이 10.2%, 13.6% 감소했고 GIST는 9.1%, 24.8% 줄었다.

유독 낙폭이 큰 UNIST를 기준으로 보면 생명과학과와 화학과 대학원의 지원·등록 인원 감소가 두드러졌다. 한국 기초과학의 미래에 경고등이 켜진 셈이다. 4차 산업혁명시대 미래 과학 경쟁력은 미래의 먹을거리를 해결하는 열쇠이다. 국회와 정부, 산업계가 이공계 인력 수준 제고에 나서, 국가경쟁력을 좌우하는 미래 성장동력을 한 단계 높여야겠다. 여기에는 두뇌들이 자긍심을 갖고 일에 매진토록 연구 환경과 처우 개선이 당연하다. 과학기술의 발전이 곧 우리의 미래라는 공동의제를 재인식하는 기회로 삼아야겠다.
저작권자 © 일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