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 시스템 상용화되려면 개인정보 이슈 등 규제 해소 필요

▲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일간투데이 홍정민 기자]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등과 함께 4차산업혁명 기술 중 핵심기술로 꼽히는 '블록체인'이 전 산업에 걸쳐 도입되는 가운데 국내 보험업계도 블록체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단 아직 도입 초기단계라 블록체인 기술적용 범위가 '본인인증 시스템' 위주로 제한적이다.

9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이처럼 뛰어난 보안성을 가진 블록체인 기술을 보험에 접목시키려는 시도는 꾸준히 나타나고 있다.

교보생명은 지난해 12월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본인인증 시스템을 구축했다. 실손보험금 지급신청시 보험사와 상계백병원과 삼육서울병원, 수원성빈센트 등 전국 7개 병원에서 교보생명 직원 200명을 대상으로 보험금 자동청구 시스템을 시범 운영하고 있다. 교보생명은 내년까지 대상 병원을 600개까지 확대할 예정이다.

삼성SDS도 지난 6월 의료기관과 보험사, 디지털 헬스케어 전문기업과 컨소시엄을 구성해 블록체인 기반 보험금 자동청구 시범 서비스를 이번달 말 선보인다고 발표했다. 환자가 직접 병원 창구를 방문하거나 보험사에 이메일을 보내지 않아도 카카오톡 알림톡을 통해 보험금을 청구하고 관리받을 수 있는 서비스를 구현할 계획이다. 블록체인은 병원이 필요한 환자 데이터를 보험사에 암호화된 방식으로 전달하는 데 쓰인다.

블록체인 업체 아이콘루프의 블록체인 탈중앙화 신원증명 서비스 '마이아이디'는 지난 6월 말 금융위원회의 혁신금융서비스로 지정돼 이번 하반기부터 증권사, 보험사, 은행 등 18개 기업에서 활용된다. 마이아이디를 이용하면 비대면 계좌를 최초로 개설할 때 한번만 사용자의 단말기에 개인정보를 저장하면 이후 비대면 계좌 개설시 저장된 정보를 불러올 수 있어 짧은 시간에 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밖에 오렌지라이프는 지난해 12월 블록체인 플랫폼을 구축해 모바일 보험증권 등의 진위 검증에 시범 적용하고 있다.

이처럼 블록체인 기술은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으나 아직 국내의 경우 탈중앙화 신원증명(DID)에 집중되고 있다.

해외의 경우 재보험, 기업보험 등 보험사고의 규모가 크고 계약의 표준화가 용이한 기업성 재물보험에 블록체인을 적용하려는 시도가 이뤄지고 있다. 다국적기업의 보험계약에서 스마트 계약을 이용해 암호화폐 등으로 외환 거래 등 현금 흐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불필요한 비용의 감소 효과를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는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블록체인 등 4차산업 기술이 보험업계에 접목되고 있지만 블록체인은 이 기술들 중 상용화 되기에 가장 긴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며 "블록체인 기술이 본격 도입되기 위해서는 의료업계의 동의 및 개인정보 제3자 제공 동의 등의 문제가 선천적으로 해결돼야 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일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