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국방장관 "한·일 양측에 매우 실망"…美 역할 확대 나설지 주목

▲ 랜들 슈라이버 미 국방부 인도태평양 안보담당 차관보가 28일(현지시간) 워싱턴DC에서 열린 미 싱크탱크 전략국제문제연구소 행사에서 강연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일간투데이 송호길 기자] 미국이 한일 갈등 상황과 관련, 국방 수장의 입을 통해 일본에 실망감을 공개 표명했다.

일본의 수출규제로 한일갈등이 촉발된 이후 미국 측이 한국뿐 아니라 일본에 대해서도 같이 '실망했다'고 공개적으로 언급한 것은 처음이다.

공개적 실망·우려 표현을 자제해달라는 한국 정부의 당부에도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지소미아) 종료 결정에 대한 미 정부 고위 당국자의 우려 메시지도 또 나왔다.

대중·대북 대응이라는 미국의 안보이익에 지소미아 종료 결정이 영향을 준다는 판단하에 일단은 종료 결정 재고를 계속 촉구하겠다는 게 미국 정부의 기조로 읽힌다.

마크 에스퍼 미 국방장관은 28일(현지시간) 기자회견에서 지소미아 종료 결정에 대해 "한일 양측이 이에 관여된 데 대해 매우 실망했고 여전히 실망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달초 한국과 일본을 방문해 카운터파트를 만났을 때 실망감을 표현했고 문제 해결을 촉구했다면서 한일이 현재의 갈등 상황을 뛰어넘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

한일 양측을 상대로 한 발언이기는 하지만 일본의 경제보복으로 인한 한일 갈등이 시작된 후 미국 고위 당국자의 입에서 일본에 대한 실망감이 공개 표출된 것은 처음이다.

한국에 대해서는 지소미아 종료와 관련해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 및 국방·국무부 논평을 통해 실망감이라는 표현을 동원한 불만이 공개 표명됐지만 일본의 대한(對韓) 수출규제 및 백색국가 제외 과정에 대해서는 미국에서 일본을 겨냥한 경고 메시지가 나오지 않았다.

에스퍼 장관의 이날 발언은 지소미아 종료 결정 이후 한국 정부로 몰리던 미국의 불만을 일본으로 나누며 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을 촉구하는 차원으로 분석된다.

지소미아 종료가 인도태평양 지역에서의 대중·대북 대응에 있어 미국의 안보이익에 직접적 영향을 미친다는 판단 하에 미국 안보수장의 입으로 시급한 문제 해결을 당부한 셈이다.

하지만 지소미아 종료 결정 재고를 위한 미국의 압박 기조 역시 유지되는 모습이다.

랜들 슈라이버 미 국방부 인도·태평양 안보담당 차관보는 이날 오전 '한미일 안보협력의 중요성'을 주제로 한 미 싱크탱크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공개 강연에 나서 한국 정부에 지소미아 연장을 촉구했다.

슈라이버 차관보는 지소미아 종료 결정에 대해 "우리가 동북아에서 직면한 심각한 안보도전과 관련해 문재인 정부의 심각한 오해를 반영하는 것일 수 있다는 점을 우리는 우려한다"면서 "한일이 불화할 때 유일한 승자는 우리의 경쟁자들임을 강조한다"고 했다.

슈라이버 차관보의 이날 공개 강연은 지소미아 종료 결정 이전부터 잡혀있던 것이기는 하지만 조세영 외교부 제1차관이 이날 해리 해리스 주한미국대사를 불러 미국 정부에 공개적 실망·우려 메시지 자제를 당부한 터라 발언 수위에 관심이 쏠렸다.

슈라이버 차관보는 이날 강연에서 지금까지 미국 정부 차원에서 발신된 정도를 넘는 메시지를 내놓지는 않았으나 그간의 미국 정부 입장을 되풀이하는 등 발언 수위를 낮추지는 않았다.

지소미아 종료 시한인 11월 22일까지 시간이 있다는 판단에 따라 한국 정부에 지소미아 종료 결정 재고를 계속해서 요구하겠다는 게 미국의 의도로 해석된다.

슈라이버 차관보는 당장 미국이 적극적 중재 역할에 나서는 데 대해서는 선을 긋는 듯한 태도를 취했지만 미국의 고위급 파견 가능성 등을 열어 뒀다.

그는 이날 강연 이후 계속된 문답에서 관련 질문을 받고 에스퍼 장관과 존 볼턴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이 최근 한국과 일본을 방문했던 것을 거론하며 "우리는 장관급 관여를 했고 비슷한 관여를 기대한다"고 했다.

한일이 미국에 각자의 입장에 서달라고 요구하기보다 갈등을 악화시키는 행위를 중단하고 문제 해결의 태도를 취할 때는 미국이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한 것이라는 평가다.

이에 따라 그간 적극적 중재에 거리를 둬 온 미국이 지소미아 종료 결정에 따른 안보이익 영향을 우려, 역할 확대 모색에 나설지 주목된다.
저작권자 © 일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