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양우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군함도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이후 日정부 약속 안 지켜"

[일간투데이 권희진 기자] 2015년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메이지(明治)시대 산업유산 중 조선인 강제노역의 대표적 장소인 군함도(端島·하시마)에 대한 두 번째 약속이행 경과보고서 제출 시한이 열흘 앞으로 다가왔다.

박양우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프랑스 파리 유네스코 본부에서 19일(현지시간) 오드레 아줄레 유네스코 사무총장을 만나 군함도의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시 일본 정부가 약속한 후속 조치가 이행되지 않았다고 이의를 제기했다.

당시 군함도가 세계유산으로 등재될 때 일본 정부는 조선인 강제노역 시설에 대한 정보센터를 설치하는 등 조선인 징용 노동자들을 추모할 수 있는 후속 조치를 강구하겠다고 약속했지만 지금까지 일본 정부는 특별한 후속 조치를 취하지 않고 있다.

이에 대해 박 장관은 "이는 정치적 문제가 아니라 사실관계 문제이자 신뢰의 문제로 유네스코 차원에서도 관심을 가져달라"고 유테스코 측에 촉구했다.

이에 대해 아줄레 사무총장은 "12월 1일까지 일본 정부에서 이행보고서를 제출하기로 했으니 관심을 가지고 지켜보겠다"고 답변했다.

박 장관의 발언은 약속을 지키지 않은 일본 정부를 비판하는 동시에 군함도를 세계유산으로 등재한 유네스코 측의 부실한 관리 능력을 우회적으로 질타한 것으로 분석된다.

또 군함도 조선인 강제노역은 정치적 사안이 아니라 역사적 사실임을 알렸다는 해석도 나온다.

앞서 2015년 일본은 세계유산 등재 과정에서 산업유산 23개 중 일부에서 한국인과 기타 국민이 자기 의사에 반하게 동원돼 강제로 노역했다고 인정하고 희생자들을 기리는 정보센터를 설치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2017년 12월 유네스코에 제출한 첫 번째 '유산 관련 보전상황 보고서'에서 이 정보센터를 군함도가 소속된 도시인 나가사키현이 아니라 도쿄에 만들겠다고 해 논란을 불렀다.

또 보고서에 '강제'(forced)라는 단어를 명시하지 않고 "제2차 세계대전 때 국가총동원법에 따라 전쟁 전(前)과 전쟁 중, 전쟁 후에 일본의 산업을 지원(support)한 많은 수의 한반도 출신자가 있었다"고 표현한 점도 문제로 지적됐다.

일본은 조선인 강제 징용을 표현하는 단어를 극도로 순화하며 제대로 된 역사적 진실을 회피하고 있다는 인상을 주기도 했다.

이에 한국은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는 지난해 바레인에서 열린 회의에서 한국인 등의 강제노역을 포함한 '전체 역사'를 제대로 알릴 것을 일본에 촉구했다.

세계유산위원회는 전체 역사 해석에 있어 국제 모범 사례를 고려할 것을 독려해 결국 일본은 내달 1일까지 두 번째 보고서를 제출해야 한다.

문화재청 측은 경과보고서 내용을 확인한 후 정부 차원에서 대응 방안을 모색할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이번 보고서는 내년 세계유산위원회에서 검토하며, 위원회가 의결하면 강제력을 띠게 된다.
저작권자 © 일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