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시간 근로자·노년층 취업자↑
40대 고용률 하락 22개월째 '뚝'

사진=연합뉴스

[일간투데이 권희진 기자] 지난달 취업자가 33만명 이상 늘면서 넉 달 연속 30만명대를 유지해 고용률이 23년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통계청이 11일 발표한 '2019년 11월 고용동향'을 보면 지난달 취업자는 2751만5000명으로 1년 전보다 33만1000명이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로써 취업자 증가폭은 8월(45만2000명), 9월(34만8000명), 10월(41만9000명)에 이어 넉 달 연속 30만명대 이상을 기록했다.

산업별로 보면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13만5000명), 숙박 및 음식점업(8만2000명), 예술·스포츠·여가 관련 서비스업(8만2000명) 등에서 증가해, 전체 고용율을 견인했다.

반면 도·소매업(-8만8000명), 건설업(-7만명), 공공행정·국방 및 사회보장행정(-3만6000명) 등에서는 감소했다.

제조업(-2만6000명)은 감소폭이 2만명대로 줄어들었지만 20개월째 마이너스 행진을 이어가면서 제조업계의 부진으로 인해 고용율도 진통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용근로자가 59만3000명 증가했으나 일용근로자는 11만1000명, 임시근로자는 5만4000명이 각각 감소했다.

비임금근로자 중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는 14만8000명 증가했지만 고용원 있는 자영업자는 19만6000명 감소했다. 무급가족종사자는 4만9000명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주일에 17시간 이하 근무하는 단시간 근로자와 60세 이상을 중심으로 취업자가 크게 증가한 반면 40대의 고용률은 약 10년 만에 최대폭으로 하락했다.

취업시간대별로는 주당 1∼17시간 취업자 수가 38만6000명 증가하면서 2011년 9월(134만6000명) 이후 최대 증가폭을 기록했다. 이는 사실상 1982년 관련 통계 작성 이후 가장 큰 증가폭이다.

반면 36시간 이상 취업자 수는 28만9000명 줄어들었다. 주당 평균 취업시간도 40.8시간으로 1년 전보다 0.9시간 줄었다.

통계청의 분석에 따르면 노인일자리가 주로 가는 공공행정이나 보건·사회복지서비스업, 아르바이트하는 학생, 시간제 강사 등이 있는 숙박음식업이나 교육서비스업의 고용이 증가했다.

연령계층별로는 60대 이상(40만8000명), 20대(7만명), 50대(6만5000명)에서 증가한 반면 40대(-17만9000명)와 30대(-2만6000명)는 감소했다.

30대와 40대 취업자 수는 24개월 연속 동반 감소한 반면 60대 이상 취업자 수는 전월(41만7000명)에 이어 두 달 연속 40만명대 증가세를 이어가면서 고령 취업이 취업 시장을 주도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경제의 중심축으로 분류되는 40대의 취업자 감소세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어 40대의 고용 불안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30대는 인구감소를 고려한 고용률이 0.8%포인트 상승한 76.6%였지만 40대 고용률(-1.1%포인트)은 유일하게 하락했다.

40대 고용률은 전년 대비 22개월 연속 마이너스를 나타냈고 하락폭은 2009년 12월(-1.1%포인트) 이후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15세 이상 고용률은 61.7%로 1년 전보다 0.3%포인트 올랐다.

고용률은 올해 들어 1월(-0.3%포인트)과 4월(-0.1%포인트)을 빼고 모든 달에서 1년 전보다 상승했다.

청년층 고용률(15~29세)은 44.3%로 1.1%포인트 올랐다.

지난달 실업자는 86만6000명으로 1년 전보다 4만3000명 감소했다. 실업률은 3.1%로 1년 전보다 0.1%포인트 하락했다.

청년 실업률은 7.0%로 0.9%포인트 떨어졌다. 같은 달 기준 2012년(6.7%) 이후 가장 낮았다.

체감 실업률을 보여주는 고용보조지표3(확장실업률)는 10.5%로 1년 전보다 0.2%포인트 내렸다.

지난달 비경제활동인구는 5만3000명 증가한 1624만5000명이었다.

활동상태별로 보면 쉬었음(31만4000명) 등에서 1년 전보다 증가했으나, 가사(-13만6000명), 재학·수강 등(-13만3000명)에서는 감소했다.

취업 준비자는 73만6000명으로 1년 전보다 3만5000명 증가했다. 구직단념자는 48만7000명으로 4만8000명 줄었다.


저작권자 © 일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