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전문가, "국내 AI인재 부족률 60% 달해"
"AI 인재 확보 위해 국내 교육·인프라·정부지원 강화해야"

▲ 국내 AI 인재 양성을 위한 개선과제. 자료=한국경제연구원
[일간투데이 이욱신 기자] 글로벌 인공지능(AI) 시장에서 인재 확보 경쟁이 치열한 가운데 국내 AI 인력 부족률이 60% 수준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의 AI 인재 경쟁력 또한 선진국인 미국의 절반 수준에 불과하며 한·중·일 3국 중에서도 가장 낮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15일 한국경제연구원이 국내 산·학·연 AI 전문가 30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AI 인재 현황 및 육성 방안' 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문가들은 AI 산업과 글로벌 시장을 선도하고 있는 미국을 기준(10)으로 중국, 일본, 한국의 AI 인재 경쟁력을 각각 8.1, 6.0, 5.2로 평가했다.

또 국내 AI 인력 부족률이 평균 60.6%에 달한다고 응답했다. 개별 응답률을 보면 '50%대' 수준에서 부족하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고 '절반 이상 부족하다'는 의견이 전체의 72.5%에 달했다. '부족 비율이 낮다'고 응답한 일부 전문가들도 '현재 AI 기술에 기반한 사업 아이템이 많지 않고 산업이 고도화되지 않아 얼마나 부족한 지에 대해 논하기 어려운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AI 전문 인력 양성 및 확보 방안으로는 '국내·외 AI 석박사 채용'(89.3%)이 가장 많았고 '재직자 AI 교육'(75.0%), '대학 연계 프로그램 개발'(46.4%) 순으로 나타났다. 국내·외 AI 기업을 인수하거나 해외 연구소를 설립 또는 인수한다는 의견도 각각 17.9%에 달했다.

아마존, 구글 등 글로벌 선도 기업을 비롯해 삼성전자, 네이버 등 국내 주요 대기업은 즉시 협업이 가능한 연구진을 보유한 국내·외 AI 기업을 인수하거나 해외 연구소 설립을 통해 현지 기술 전문가 채용으로 AI 기술 인력을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우수 대학 인재 확보를 위해 산·학 공동 프로젝트를 추진하는 한편 사내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해 직원들을 재교육하는 등 AI 실무형 인재 육성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전문가들은 AI 인력 확보 애로요인으로 '실무형 기술인력 부족'(36.7%)을 가장 많이 꼽았고 '선진국 수준의 연봉 지급이 어려움'(25.5%), '전문 교육기관 및 교수 부족'(22.2%) 순으로 응답했다. '예산 지원, 규제 완화 등 정부 지원 부족' 및 '근로시간 등 경직된 근무환경 및 조직문화'를 꼽은 비중도 각각 6.7%로 나타났다. 기타 의견으로는 '회사 경영진의 AI 기술·특성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는 응답도 있었다.

AI 인재 육성을 위한 개선과제로, 전문가들은 'AI 교육 인프라 확대'(37.8%)가 가장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AI 인재 육성은 장기간의 시간과 예산이 소요되는 정책이므로, 초·중·고교와 학부에서도 STEM(과학·기술·공학·수학) 교육 또는 AI 관련 교육 커리큘럼을 개발해 기초교육 기반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데이터 활용규제·AI 전공 교수 겸직 제한 등 '기술혁신과 신산업 창출을 저해하는 규제완화'(21.1%)와 'AI 기술 관련 스타트업 창업 및 기업의 AI 인재 육성에 대한 제도적 지원·투자 확대'(13.3%)가 필요하다는 응답도 나왔다.

추광호 한경연 일자리전략실장은 "AI가 4차산업혁명시대에 새로운 성장 동력임에도 불구하고 기술인력 부족률이 60.6%에 달해 산업계의 수요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며 "기업과 대학의 실무형 인재 육성 프로그램을 지원하고 AI 교육 인프라를 확대해 심각한 청년 실업이 완화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일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