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간투데이 조필행 기자] 6·25전쟁이 발발한 지 70년. 여전히 ‘귀환’하지 못한 6·25 참전용사들이 남·북한 및 비무장지대 곳곳에 묻혀있다.

6·25전사자 유해발굴사업은 2000년 4월 6·25전쟁 50주년 기념사업으로 육군에서 시작했고, 2003년 정부 보훈관계장관회의를 통해 ‘영구사업’으로 결정됐다.

지난 2007년 1월에는 육군에서 국방부로 사업주체 전환됐고, 국방부 시행기관으로 ‘유해발굴감식단’을 창설해 오늘에 이르고 있다.

그간 전국의6·25 격전지를 중심으로 발굴 활동을 전개해 현재약 1만여 구의 유해를 수습했다.

특히, 9.19 군사합의로 2019년부터 ‘비무장지대 내 6·25전사자 유해발굴’을 추진해 발굴사업의 성과 확대는 물론 정부 정책에 대한 국민 신뢰도 향상에도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

안타깝게도 신원이 확인된 사례는 140여 분에 그치고 있고, 신원확인에 필요한 유가족 유전자 시료 또한 부족한 실정이어서 국민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하다.

70년이 경과한 유해의 신원을 확인하는 과정에서 최대한 가까운 촌수의 다수 유가족 유전자 시료가 필요한 상황인데 2020년 5월 말 현재 확보된 유전자 시료는 5만여 개로, 미수습 전사자 13만 3천여 명을 고려하면 37% 수준이다.

또한 6·25전사자 유가족들의 노령화가 급속히 진행되고 있어 ‘전 국민적 관심’은 물론, ‘시간과의 싸움’도 피할 수 없는 현실이다.

최근 호국영웅귀환행사를 거행했던 故 김진구 하사의 아들인 김대락(70세)씨는 현충원에서 실시했던 ‘유가족 유전자시료 채취 행사’에 참여해 70년간 찾을 수 없었던 아버지의 유해를 찾을 수 있었고, 故 임병호 일등중사의 따님인 임춘규(71세)씨도 유해발굴감식단의 유가족 탐문관의 방문채취를 통해 아버지의 유해를 모실 수 있었다.

이러한 제한사항들을 극복하기 위해 6·25 70주년인 올해 국방부는 관계부처와 협업을 강화하고 있으며, 특히 유가족 유전자시료 채취를『국민캠페인』으로 확대시켜 가고 있습니다. 특히 『언텍트 시대』에 부합하는 사업 시행방안 등을 중·장기적으로 검토해 나갈 예정이다.
저작권자 © 일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