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지난 1월 20일 이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 19)이 창궐하면서 보건위생의 한 방편으로 현실적인 대안인 마스크 착용 권장에 나서자 마스크가 품귀 현상이 벌어졌다. 하다못해 정부는 강력한 마스크 수급조절 대책의 하나로 공적 마스크 제도에 착수했다. 그 공적 마스크 제도가 지난 12일 종료됐다.

코로나 19를 차단하는 개인 위생관리 수단으로 지난 3월 5일 내놓은 '마스크 수급 안정화 대책'에 나선 지 4개월여만이다. 이 기간에 초기 품귀에서 전 국민 누구나가 초기 불편함에서 벗어나 다양한 마스크를 쓸 수 있게 됐다. 코로나 19를 차단하는 방역 당국을 전국 2만3천여 개 약국의 약사들이 현장에서 지원한 것이다.

코로나 19 확산에 따른 마스크 품귀 대란에 따라 약국 등 지정된 장소에서 지정된 날에만 마스크를 구매할 수 있도록 한 공적 마스크 제도의 최전선에 약국의 약사들이 그 역할을 지난 4개월여간 성공적으로 임무를 수행했다. 어찌 보면 약국은 마스크를 사려는 국민을 상대로 코로나 19에 무방비로 노출된 상황에서 정부 긴급 대책에 나섰다고 볼 수 있다. 초기 마스크를 사려는 몰려드는 행렬에 다른 일을 못 볼 정도로 과중한 업무부담은 기본이었고 혹시 나도 마스크를 판매하는 과정에서 코로나 19가 감염되지 않을까 하는 두려움도 가시지 않았다고 한다.

대한약사협회에 따르면 공적 마스크 제도가 4개월여 진행되는 과정에서 나라가 해야 할 일을 대신에 하는 약국들이 듣지 않아도 될 원망, 분노들을 감당하는 바람에 당시 전국 약국들이 전쟁터처럼 변했고, 전국 약사들이 희생과 헌신으로 이를 감내해왔다.

그런 면에서 코로나 19를 통제범위 수준으로 관리하는 ‘K-방역’에 약국을 통한 공적 마스크 제도는 또 다른 숨은 주역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대한약사회는 이번 공적 마스크 제도를 현장에서 그 임무를 수행하면서 시행착오로 겪은 몇 가지 당부의 말도 제도 개선을 위해 내놨다. 언제 어떤 상황에서 또다시 약국이 이번처럼 K-방역의 최전선에 나설지도 모른다는 점에서 귀를 기울여야 할 것으로 본다.

대한약사회가 공적 마스크 제도에 대한 보완할 점으로 지적한 코로나 19가 진정되면 장기적으로 최소한의 방역물품은 건강보험 체계 안에 들어갈 필요가 있다는 점이다. 일단은 시장 기능에 맡겨야겠지만 안정화 과정을 거쳐 가면서 그다음에는 그런 고민할 필요가 있다. 국가가 1억 장을 비축하면 국민 1인당 2장이다. 국가 비축이 답이 아니라는 것이다. 국민 비축으로 가야 한다고 조언했다. 국민 비축을 위한 제도적 장치들이 필요하고 이에 대해 고민을 할 때가 됐다는 점을 우선 지적했다.

이와 함께 국민을 줄 세워서 약국에서 주민등록번호를 확인하고 이를 전산으로 다시 점검하는 것을 피해야 한다고 말한다. 스마트폰에 운전면허증이 내장돼 있듯이 건강보험증도 들어와서 바로 자격 확인까지 이뤄지는 시스템이 반드시 만들어져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했다. 그러면서 공적 마스크 제도 종료 후 약국 마스크 가격 논란과 관련해서는 다양한 마스크의 기능, 공급가, 선호도 등에 따라 가격이 달라져야 한다는 의견이다. 여러 종류의 마스크가 나와 있고, 마스크 별로 여러 가지 가격이 혼재하는 게 시장에서 KF94, KF80, KFAD(비말마스크), 덴탈마스크, 공산품 마스크 등이 있지만 같은 제품군에서도 생산지나 제조사에 따라 가격도 다르고 선호도도 다 다르다는 점을 지적했다. 실제 공적 마스크 공급가도 제조사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기도 했다면서 이제는 조달청 가격에 묶였던 것이 시장 원리에 따라 마스크 공급가와 용도, 선호도 등에 따라 가격이 바뀔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현장에서 희생과 헌신으로 국민 보건의 일익을 담당한 전국 2만3천 개 약국의 약사들이 지난 4개월여간에 겪고 내놓은 여러 의견은 향후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는 또 하나의 대책이라는 점에서 시행할 수 있으면 바로 시행으로 답을 하는 게 이들의 노고에 대한 국가의 보답이라고 본다.
저작권자 © 일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