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혜인 의원, "文 정부, 탄소중립 공약과 모순"

▲ 자료=용혜인 의원실(수출입은행).
[일간투데이 이욱신 기자] 재생에너지 투자 확대와 탄소중립을 이행하겠다고 약속한 문재인 정부에서 해당부문에 대한 금융지원은 답보 상태라는 비판이 제기됐다. 수출입은행이 지난 2017-2020년 기간 동안 총 2조3000억원을 재생에너지에 지원했는데 그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태양광발전(1조8000억원)과 비슷한 규모로 석탄화력에 투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용혜인 의원(기본소득당)이 한국수출입은행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수출입은행의 2020년 재생에너지(태양광, 풍력, 폐자원, 바이오매스 등) 지원액은 2017년에 비해 15.0%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7년 6635억원이었던 투자액은 2018년 4147억원, 2019년 6822억원, 2020년 5642억원으로 전체적으로 증감을 반복하며 정체 양상을 보인다.

이런 양상을 띄는 주된 이유는 투자액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태양광발전 지원의 부진 때문이다. 블룸버그 뉴 에너지 파이넌스(BNEF, Bloomberg New Energy Finance)에 따르면 2017년 글로벌 태양광수요가 99GW에서 2020년 144GW로 45.5%늘었음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2017년에 비해 투자액이 34.7% 감소했다. 풍력발전과 폐자원, 바이오매스 투자가 적게나마 증가한 것이 전체 재생에너지 지원 감소폭을 어느 정도 상쇄했다.

이런 흐름은 원자력이나 대형 화력보다 일자리 창출효과가 뛰어난 재생에너지 분야에 기업들이 투자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겠다는 문재인 정부의 대선공약과 배치된다. 수출입은행 역시 기후위기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는 석탄화력발전에 대한 공적금융투자로 국내외에서 비난을 받은 바 있다. 기재위 국정감사에서도 수출입은행과 같은 공적금융기관이 재생에너지 투자를 더욱 확대해야 한다는 지적은 줄곧 있었다.

게다가 전세계적으로도 재생에너지의 설비투자 규모가 2010년대 이래로 꾸준히 상승세인 상황이다. 위 BNEF에 따르면 2017년 전세계 신규발전설비의 60%가 재생에너지원이었는데 2020년에는 75%까지 상승했다. 대외적 시장환경까지 뒷받침하는 상황에서 오히려 공적금융의 재생에너지에 대한 전체적인 금융지원 규모가 뒷걸음치는 현상이 벌어지고 있는 것이다.

심지어 수출입은행은 문재인정부 기간동안 인도네시아와 베트남 석탄화력발전소 건설에 1조8446억원을 지원하겠다고 결정했다. 이는 2017-2020 4년간 전체 태양광발전 금융지원 1조8303억원을 상회한다. 박근혜 정부 시기 결정한 투자규모인 2조4348억원의 75%에 달하는 규모이기도 하다. 비록 문재인 정부가 지난 4월 신규 석탄금융지원중단 조처를 내리긴 했으나 이미 결정한 투자는 정상적으로 집행해야 한다는 점에서 문제라는 지적이다. 남은 집행액은 지난 8월 기준으로 19억2500만달러(약 2조1807억원)에 이른다.

용혜인 의원은 "탄소중립 노력과 재생에너지 투자 확대를 공약한 문재인 정부에서 수출입은행의 재생에너지 투자가 답보상태인 것은 문제"라며 "기후위기의 주범 석탄화력 투자 결정액이 4년간의 태양광발전 지원액과 엇비슷하다는 건 문재인 정부의 기후위기 대책의 모순과 혼란을 상징하는 것"이라고 평했다.

이어 "계약 문제가 있더라도 장기적으로 좌초할 우려가 있는 석탄화력발전계획은 과감히 청산할 수 있도록 출구전략을 구상해야 한다"며 "재생에너지 금융지원은 획기적으로 확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일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