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해물질을 주로 취급하거나 분진·소음 등 유해한 작업환경에서 일하는 근로자 4명 가운데 1명은 신경감각기 질환이나 소음성 난청 등의 질병을 앓고 있거나 질환이 의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직업병 유소견자에 대한 치료나 근로제한 등 사후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어 대책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됐다.

25일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2010년 유해업무 사업장 4만8602곳의 근로자 92만2115명을 대상으로 특수·임시·진폐건강진단을 실시한 결과 전체의 24.1%인 22만2640명이 일반질병이나 직업병 유소견, 일반질병 요관찰 판정을 받았다. 이는 전년의 24.6%보다 0.5%포인트 낮아진 것이다.

직업병에 걸렸을 가능성이 높아 관찰이 필요한 직업병 요관찰자는 11만6612명으로 전체의 52.4%를 차지했다. 이어 일반질병 요관찰자 8만922명(36.3%), 일반질병 유소견자 1만9161명(8.6%), 직업병 유소견자 5945명(2.7%) 등의 순이었다.

일반질병 유소견자의 경우 신경감각기 질환이 8643명(42.6%)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소화기질환 3556명(17.5%), 배분비질환 2355명(11.6%), 호흡기질환 2294명(11.3%), 순환기질환 1600명(7.9%), 기타 1365명(6.7%), 혈액조혈기질환 484명(2.4%) 순이었다.

직업병 유소견자는 소음성난청이 5607명으로 전체의 93.0%를 차지해 가장 많았으며 진폐증 등 197명(3.3%), 금속·중금속중독 131명(2.2%), 유기화합물중독 76명(1.3%) 등이 뒤를 이었다.

직업병 유소견자의 질병 중 유독 소음성난청 비율이 높은 것은 이들 대부분이 소음과 진동이 생기는 열악한 환경에서 근무를 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반면 이들 직업병 유소견자에 대한 사후관리는 대부분 보호구착용(48.5%)에만 의존하는 등 매우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에 대한 추적검사(20.5%), 작업전환(18.5%), 근무중치료(0.8%), 근로금지 및 제한(0.1%) 등 적극적인 조치는 거의 이뤄지지 않았으며 심지어 정상근무를 한다는 응답도 6.7%나 됐다.

한편 근로자 1만명당 발생자 수를 뜻하는 만인율은 2414.4명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에 비해 49.8명이나 늘어난 것으로 근로자의 건강이 다소 악화됐음을 뜻한다.

저작권자 © 일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