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산업부 송호길 기자
▲ 경제산업부 송호길 기자

[일간투데이 송호길 기자] 지난 11일 광주 화정아이파크 아파트 외벽 붕괴 사고가 보도될 당시 뉴스를 처음 접한 사람들은 해외 뉴스인 줄 알았다고 한다. 해외토픽에나 나올 법한 충격적인 사고다. 사고의 중심에 선 HDC현대산업개발은 지난해 6월 광주 학동 재개발 구역 철거과정에서 대규모 인명사고를 낸 이후 불과 7개월여 만에 또다시 외벽 붕괴사고를 냈다. 도급순위 9위인 이 회사가 두 번이나 후진적 사고를 연이어 냈다는 점에서 믿을 수 없는 사고다.

정몽규 HDC그룹 회장의 잠행도 길어지자 비판 여론은 더욱 증폭됐다. 그사이 공사 기간을 맞추기 위해 무리한 공사를 강행하다 난 '후진국형 인재(人災)'라는 정황이 하나둘 드러났다. 정 회장은 17일 대국민 사과에서 "광주 서구 화정아이파크 외벽 붕괴 사고 수습책과 관련해 해당 아파트의 완전 철거나 재시공 가능성까지 열어두고 있다"고 밝혔다. 현대산업개발의 모든 골조 등 구조 안전보증 기간을 10년에서 30년으로 늘리겠다는 약속도 더했다.

이번 사건을 계기로 현대산업개발을 시공사로 둔 재개발·재건축 조합원들 사이에서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광주 동구 학동4구역 재개발사업조합 내부에서는 현대산업개발 시공권 회수까지 논의 중이다. 광주 북구 운암3단지 재건축 조합도 시공계약 해지를 검토하겠다고 통보했다. 이런 상황에서 다소 늦은 감 있는 대국민 사과 시점이 아쉽다. 정 회장은 지난해 학동 붕괴사고 발생 이튿날 현장을 찾아 재발방지대책 마련 등을 약속한 바 있다. 이번 사고 때와는 대조적인 모습이었다.

광주 아파트 붕괴 사고의 최종 책임은 원청업체에 있다. 부실시공에 대해서는 안전, 피해 보상, 법적 책임 규모 등 대대적으로 제도를 손질해야 한다. 시공능력평가 9위이자 재계 순위 28위의 대기업이 이런데 다른 기업의 안전관리 현황도 촘촘히 점검해야 한다. 원청에서 하청, 재하청으로 이어지는 건설업계의 재하도급 구조를 살펴봐야 한다. 재하청업체는 주어진 공사비로 공사 시간 준수를 우선시하고 안전을 뒤로하는 일이 관행처럼 이뤄져 왔다. 사고가 발생했을 경우 원청사보다 하도급사에 책임을 묻는 일은 없어야 한다. 당국은 원청의 책임을 엄중히 물어야 한다.

저작권자 © 일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