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 국민, 우리, 신한, 씨티은행 순…비대면 거래·중복점포 폐쇄 영향
"금융당국, 소외계층 금융접근성 확보 위해 점포 유지 유인 제공해야"

[일간투데이 이욱신 기자] 최근 비대면 거래 활성화와 경영합리화 등으로 은행들의 점포 폐쇄가 늘고 있는 가운데 지난 5년간 폐쇄된 은행 점포 열곳 중 여섯곳이 수도권에 소재한 것으로 조사됐다.

IT기기 사용이 익숙치 않은 노년층 등 금융소외계층의 금융 접근성을 확보하기 위해 금융당국이 은행의 지역재투자 활동 평가 반영 비율을 높이는 등의 방식으로 지역 점포 유지 유인을 제공해야 한다는 권고가 나온다.

3일 국회 정무위원회 강민국 의원실(국민의힘, 경남 진주을)에서 금융감독원으로부터 받은 ‘국내 은행 점포 폐쇄 현황’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2016년부터 지난해 10월까지 폐쇄된 국내 은행 총 점포수는 1507개에 이른다. 

연도별로 살펴보면 2016년 273개, 2017년 420개, 2018년 115개, 2019년 135개, 2020년 332개로, 최근 3년간 매년 증가 추세이며 지난해 10월까지 폐쇄된 점포 수만도 238개에 이른다.

지난 5년간 폐쇄된 총 1275개 은행 점포들을 소유 형태별로 살펴보면 자사건물 210개(16.5%), 임대 1065개(83.5%)로 임대 은행 점포의 폐쇄가 절대적으로 많았다. 지난해 폐쇄 은행 점포 238개 중에도 자사건물 39개(16.4%), 임대 199개(83.6%)로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은행별 점포 폐쇄 현황을 살펴보면 하나은행이 304개(23.8%)로 가장 많았다. 그 다음으로 ▲국민은행 225개(17.6%) ▲우리은행 165개(12.9%) ▲신한은행 136개(10.7%) ▲씨티은행 91개(7.1%) 등의 순이었다.

▲자료=강민국 국민의힘 의원실(금융감독원).
▲자료=강민국 국민의힘 의원실(금융감독원).

시도별 국내 은행 점포 폐쇄 현황을 살펴보면 서울이 515개(40.4%)로 가장 많았다. 그 다음으로 ▲경기도 245개(19.2%) ▲부산 98개(7.7%) ▲대구 74개(5.8%) ▲경남 54개(4.2%) 등의 순이었다. 수도권에서 폐쇄된 은행 점포수가 전체의 59.6%에 달했다. 지난 5년간 폐쇄된 국내 은행 10개 점포 중 6개는 수도권에서 발생한 셈이다.

▲자료=강민국 국민의힘 의원실(금융감독원).
▲자료=강민국 국민의힘 의원실(금융감독원).

금융감독원은 국내 은행들의 점포 폐쇄가 증가하고 있는 주요 사유로 4차산업혁명 진전과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인터넷·모바일뱅킹 등 비대면거래 증가, 수익성 개선을 위한 중복점포 정리 확대 등을 꼽고 있다.

강민국 의원은 “점포 폐쇄가 은행의 경영 자율성이라고는 하나 은행이 적자도 아닌데 단순히 인터넷·모바일뱅킹 등 비대면 은행 거래증가를 이유로 점포를 폐쇄한다는 것은 공공성은 배제한 채 스마트폰과 자동현금인출기(ATM) 사용이 불편한 금융소외계층이나 노약자의 금융 서비스 권리를 무시한 처사”라고 비판했다.

이어 “은행들이 점포 폐쇄 등의 현황을 반기별로 대외 발표해 금융 소비자들에게 인지케 하고 금융 당국의 ‘은행 지역재투자 평가’ 시 점포 감소에 대한 감점 부과 폭을 확대하는 방식으로 불이익을 강화시켜 금융 접근성을 확보하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일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