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산업부 송호길 기자
▲ 경제산업부 송호길 기자

[일간투데이 송호길 기자] 최근 청년(19∼34세)들의 최대 관심사는 '청년희망적금'이다. 지난 21일 이 상품이 출시되자마자 다급하게 은행에서 대면으로 가입했다는 소식을 지인에게 접했다. 또래 친한 친구들도 가입 조건 등을 물으며 많은 관심을 보였다. 모처럼 청년들이 관심을 보인 정부 정책으로 평가하고 싶다.

일단 적금에 가입해 월 최대한도 50만원씩 2년 저축하면 기본금리 5∼6%에 저축장려금, 비과세 혜택을 얹어 약 1298만5000원을 돌려준다. 98만5000원을 수익률로 따지면 연 10%대 일반적금 상품과 맞먹는 효과다. 요즘 같은 저금리 시대에 청년들에게는 목돈 마련의 기회로 다가왔을 것이다.

다만 정부가 올해 예산으로 잡은 저축장려금은 456억원. 월 납입 한도액인 월 50만원으로 가입할 경우 약 38만명분 수준이다. 출시 첫 주부터 가입 신청은 폭주했다. 은행 애플리케이션으로 가입을 시도할 경우 여러 번 재시작을 눌러야 했다. 예산이 소진돼 가입하지 못할까 봐 서둘러 가입하려는 수요가 몰린 탓이다.

청년희망적금의 취지는 좋지만, 수요 예측에 실패해 상품을 설계해 다수의 청년에게 '희망 고문'만 안겨준 꼴 아닌가. 뒤늦게 정부는 청년희망적금과 관련한 예산은 최대한 확보한다는 방침으로 가닥을 잡았다. 예산이 조기 소진될 경우 가입을 못 하는 불상사를 막기 위해서다.

연 10%가 보장된 적금에 청년들이 몰렸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자잘한 백화점식 정책보다는 피부에 와닿을 수 있는 정책을 내놔야 한다. 청년들은 "월급은 그대론데 물가는 계속 올라간다" "청약 바늘구멍" "집값 폭등으로 좌절감이 크다"고 호소한다. 이러한 청년들의 목소리에서 실질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 정책은 어떤 것이 있는지 영감을 얻어야 한다. 청년희망적금을 시작으로 청년들의 자산형성을 위한 금융상품을 다양화해 나가야 한다. 이벤트성 정책이 아닌 지속성 있는 정책으로 자리 잡길 바란다.

저작권자 © 일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