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대출만기연장·상환유예 조처 등으로 부실 은폐"
금융당국, "은행권, 잠재적 부실 대응 선제적 조치 권고"

[일간투데이 이욱신 기자] 은행의 부실채권 비율이 2020년 3분기 이래 지난해 말까지 6분기 연속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소상공인 대출 만기 연장과 상환 유예 조처 등 코로나19 금융 지원이 계속되면서 부실이 가려진 효과라는 지적이다. 금융당국은 향후 우크라이나사태, 글로벌 금리 인상, 금융지원 조처 정상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부실에 은행권이 대손충당금 적립 등 선제적으로 대응할 것을 주문하고 있다.     

22일 금융감독원은 지난해 말 기준 국내은행의 부실채권(고정이하여신)비율은 동년 3분기 말보다 0.01%포인트(p) 하락한 0.50%로 파악됐다고 밝혔다. 2020년 말과 비교하면 0.14%포인트 하락했다. 

1년 새 총여신은 2171조7000억원에서 2371조9000억원으로 200조원 넘게 늘어난 반면 부실채권은 13조9000억원에서 11조9000억원으로 2조원 감소했다.

▲자료=금융감독원.
▲자료=금융감독원.

기업여신은 전년 말보다 0.21%포인트 낮아진 0.71%를 기록했다. 대기업여신과 중소기업여신의 부실채권비율은 각각 0.99%와 0.57%로, 전년 대비 0.25%p, 0.19%p씩 낮아졌다. 중소기업여신 가운데 개인사업자여신의 부실채권비율은 0.20%로 1년 전보다 0.07%p 하락했다.

가계여신 부실채권비율은 2020년 말보다 0.05%p 하락한 0.16%로 나타났다. 주택담보대출과 기타 신용대출에서 각각 0.11%와 0.26%가 부실채권으로 분류됐다. 신용카드채권의 부실채권비율은 2020년 말 0.98%에서 지난해 말 0.77%로 떨어졌다. 

지난해 말 시중은행의 부실채권 비율은 씨티은행(0.47%)이 가장 높았고 SC제일은행(0.19%)이 가장 낮았다. 인터넷은행을 포함한 15개 일반은행 중에는 경남은행의 부실채권 비율이 0.61%로 가장 높았다. 

지난해 신규 발생 부실채권은 2020년보다 1조7000억원 감소한 10조8000억원이다. 기업여신과 가계여신에서 신규 부실채권이 각각 8조3000억원과 2조1000억원 발생했다. 기업여신 신규 부실 규모는 2020년보다 1조원 적고 가계여신 신규 부실 규모도 2020년보다 7000억원 적었다. 

지난해 부실채권 정리규모는 12조9000억원으로, 전년보다 1조1000억원 줄었다. 정리 유형은 상·매각 5조6000억원, 여신 정상화 3조3000억원, 담보 처분을 통한 회수 2조9000억원 등이다. 

지난해 말 대손충당금적립률(총대손충당금잔액/부실채권)은 165.9%로 2020년 말보다 27.6%p 상승했다. 

자산건전성 분류 결과에 따라 추가로 적립해 손실흡수능력을 보강하는 대손준비금의 순전입액(전입액에서 환입액을 차감한 규모)은 2020년 마이너스(-) 6000억원에서 지난해 플러스(+) 1조5000억원이 됐다. 대손준비금 잔액은 2019년 말 17조2000억원에서 2020년 16조6000억원으로 줄었다가 지난해 말 18조1000억원으로 늘었다. 

부실채권 대비 대손충당금·대손준비금 합산액 적립율은 2020년 말 257.9%에서 지난해 말 319.7%로 뛰었다. 

부실채권에 포함되지 않으나 정상채권보다 신용위험이 큰 요주의여신(1개월 이상 이자 연체 등) 잔액은 2019년 말 40조원에서 2020년 말 36조7000억원으로 감소했고 지난해 말 33조5000억원으로 감소했다. 

요주의이하여신 대비 대손충당금·대손준비금 적립률은 2020년 말 97.7%에서 지난해 말 112.4%로 상승했다. 

시중은행 중에는 씨티은행의 대손충당금 적립률이 280.4%로 가장 높았고 신한은행이 163.1%로 가장 낮았다. 대구은행은 일반은행 중 유일하게 대손충당금 적립률이 2020년 말보다 하락(139.4%→135.3%)했다. 

금감원은 최근 우크라이나 사태, 글로벌 통화정책 정상화 등으로 대내외 경제의 불확실성이 더욱 커져 현재 은행의 손실흡수능력이 충분하다고 안심할 수는 없는 상황에서 만기 연장과 상환유예 등 각종 금융지원 조처가 정상화되는 과정에서 부실이 확대될 가능성에도 선제적으로 대비할 필요가 있다는 판단이다. 은행이 팬데믹 상황에 잠재된 신용위험을 충실히 평가하고 이를 바탕으로 충분한 대손충당금을 적립하도록 지도할 방침이다.

저작권자 © 일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