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가격 상승, 무역수지 감소, 물가상승 등 경제 부담 우려돼
우크라이나 사태 조기 해결 기미 보이지 않아 당분간 오름세 전망

▲서울 시내 주유소 모습. 사진=연합뉴스.
▲서울 시내 주유소 모습. 사진=연합뉴스.

[일간투데이 이욱신 기자]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한 지정학 리스크로 국제 에너지 가격이 급등하면서 무역수지와 물가 등 우리 경제에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28일 관세청에 따르면 올해 1월 1일부터 3월 20일까지 3대 에너지(원유·가스·석탄) 수입액은 384억9660만달러에 이르렀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85.4% 증가했다. 원유 수입액이 69.8%, 가스 수입액은 92.0%, 석탄 수입액은 150.6% 늘었다.

3대 에너지 수입액의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을 월별로 보면 1월 131.4%, 2월 53.4%, 3월 1∼20일 75.5% 등이다.

에너지 수입액의 가파른 증가는 주로 국제 에너지 가격 상승에 기인한다. 국제 에너지 가격은 코로나19 확산 사태 이후 글로벌 경기 회복으로 수요가 빠르게 늘어나고 있지만 공급 회복 속도가 따라가지 못하면서 지난해부터 상승 흐름을 보였다.

이에 더해 전 세계 원유의 약 12%, 천연가스의 약 17%를 생산하는 러시아가 지난달 말 우크라이나를 침공하고 국제사회가 러시아에 대한 전방위적 제재를 가하면서 오름세에 속도가 붙었다.

두바이유 현물 가격은 전년 1월 배럴당 50달러대 초반 수준이었으나 연말에는 70달러대 후반으로 올랐고 지난 9일에는 127.86달러까지 치솟았다. 지난 24일 종가는 115.60달러였다.

전문가들은 가파른 에너지 가격 상승이 개별 기업의 이윤을 악화시킬 뿐만 아니라 수입가격 상승으로 무역 수지에 악영향을 끼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더 나아가 국내 생산자물가, 소비자물가 등에 반영되면서 인플레이션(물가상승) 압력으로도 작용할 것이라는 관측이다.

올해 들어 지난 20일까지 무역수지는 59억7700만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에는 무역수지가 66억600만달러 흑자였다. 지난해 말 정부가 '2022년 경제정책방향'을 발표하면서 올해 경상수지가 800억달러 흑자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는데 유가 상승 등으로 이 목표가 실현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당초 정부는 국제유가가 지난해 4분기 정점을 찍은 뒤 떨어져 두바이유 기준 연평균 73달러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했으나 현재 유가는 그 보다 훨씬 높은 상태다. 

국제 유가 상승은 소비자 물가도 들썩였다.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3.7%로 5개월 연속 3%대를 기록했는데 석유류의 물가 기여도는 0.79%포인트로 가장 높았다. 시장에서는 국제 유가 상승의 주요인인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사태가 조기에 해결될 기미가 보이지 않음에 따라 당분간 국제 유가 오름세가 계속되면서 이번달과 다음달 물가 오름세는 더 가파를 것이란 관측이 많다.

 

저작권자 © 일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