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 사태 등 소비자 물가 급등…새 정부 정책 공조 관측도
글로벌 긴축 기조 속에 연내 최소 두 차례 추가 인상 2%대 금리 예상

▲주상영 금통위원회 의장 직무대행이 14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주상영 금통위원회 의장 직무대행이 14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일간투데이 이욱신 기자] 한국은행이 지난 1월 이후 3개월 만에 다시 기준금리를 올렸다. 총재 부재 상태에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등으로 경제 불확실성이 여전하지만 치솟는 물가를 먼저 잡기로 한 것이다. 시장에서는 글로벌 금리 인상 기조에 따라 올해 추가 인상 전망이 나오고 있다. 

14일 한은 금융통화위원회(이하 금통위)는 통화정책방향 회의를 열고 현재 연 1.25%인 기준금리를 1.50%로 0.25%포인트(p) 인상했다.

지난해 8월 그 동안 코로나19 확산 사태로 인하 기조였던 기준금리를 15개월 만에 0.25%포인트 인상한 것을 시작으로 같은 해 11월과 올해 1월, 이날까지 최근 약 8개월 사이 0.25%포인트씩 네 차례, 총 1.00%포인트 올린 것이다. 

금통위가 금리 인상에 나선 데에는 소비자물가 급등이 우선 꼽힌다. 우크라이나 사태 등으로 국제유가가 급등하면서 3월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 같은 달보다 4.1% 뛰었다. 4%대 상승률은 2011년 12월(4.2%) 이후 10년 3개월 만에 처음이다.

한은의 3월 소비자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향후 1년의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값에 해당하는 '기대인플레이션율'도 2.9%에 이르렀다. 한달 새 0.2%포인트 또 올랐는데 2014년 4월(2.9%) 이후 7년 11개월 만에 가장 높다.

새 정부와 정책공조도 고려됐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윤석열 당선인 인수위는 물가안정을 국정 '최우선 과제'로 선언하기도 했다. 

이창용 한은 총재 후보자의 가계대출 문제 해결 의지가 기준금리 인상에 더 힘을 실었을 가능성도 있다. 이 후보자는 최근 김주영 의원(더불어민주당)이 보낸 가계부채 관련 서면질의에 "가계부채는 부동산 문제와 깊이 연결돼 있고 성장률 둔화 요인이 될 수 있어 가계부채 증가 속도를 안정화하는 것은 시급한 정책과제"라며 "한은이 금리 시그널(신호)을 통해 경제 주체들이 스스로 가계부채 관리에 나서도록 유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답했다. 가계부채 관리방안으로 금리 인상을 고려하고 있음을 시사한다는 해석이다.

또 미국 연방준비기구(연준·Fed)의 이른바 '빅 스텝'(단번에 기준금리 0.5%포인트 인상) 이후 한-미 금리 역전 가능성도 금통위 결정의 배경으로 거론된다. 시장의 예상대로 연준이 5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빅 스텝을 한 뒤 추가 인상을 하게 되면 한미간 금리 역전으로 외국인 투자자의 자금 유출과 급격한 원화 가치 하락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이날 0.25%포인트 인상으로 일단 미국 연준 기준금리(0.25∼0.50%)와 격차는 1.00∼1.25%포인트로 커졌다.

시장에서는 올해 최소 두 차례, 많게는 세 차례 추가 금리 인상이 이어져 연말에는 2.00∼2.25%에 이를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정치권에서도 물가인상에 대한 우려가 나오고 있는 데다 미국 외 유럽, 오스트레일리아 등 주요국 중앙은행들이 긴축을 고려하는 등 글로벌 추세에 영향을 받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저작권자 © 일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